34개월째 오르는 아파트 전셋값 지쳐…싸고 자유로운 단독·연립 살래요

34개월째 오르는 아파트 전셋값 지쳐…싸고 자유로운 단독·연립 살래요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6-03-06 17:06
업데이트 2016-03-06 17: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관악·강서구 거래량 급증… 환금성 낮지만 가격 낮아 매력

아파트 전셋값 상승으로 단독 및 연립주택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거래량이 늘어남에 따라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 가고 있다.

아파트 전세가율 상승세는 멈추지 않고 있다. KB국민은행 부동산 시세를 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전달보다 0.3% 포인트 상승한 74.4%로 2013년 4월 이후 34개월 연속 상승했다.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율은 75.4%를 기록했는데, 2년 동안 11.3% 포인트 오른 수치다.

전세가율 상승을 견디지 못해 아파트를 매매하던 수요도 최근 집값 하락 우려가 커짐에 따라 위축됐다. 대신 매매 수요가 눈을 돌린 곳이 단독·연립주택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953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8539건)보다 41%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의 단독·다가구 거래량은 1126건에서 1189건으로 5.6%, 연립·다세대 거래량은 2998건에서 3256건으로 8.6%씩 늘었다.

같은 기간 연립·다세대 거래량 증가는 관악구(52.5%)와 강서구(31.8%)에서 두드러졌다. 관악의 전세가율은 77.5%, 강서의 전세가율은 79.5%로 두 곳 모두 서울의 전세가율 평균을 웃도는 지역으로 최근 신축 연립이 많이 들어서는 곳이다.

환금성이 낮다는 단점과 직결되는 이야기이긴 하지만 그래도 단독 및 연립의 가장 큰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있다.

지난 2월 전국 아파트 매매가가 3.3㎡당 1187만원인 데 비해 단독주택의 매매가는 3.3㎡당 599만원, 연립주택의 매매가는 3.3㎡당 854만원으로 집계됐다. 아파트에 비해 자유로운 생활이 가능하고, 텃밭이나 야외 놀이공간을 꾸밀 수 있다는 점도 최근 주목받는 장점이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03-07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