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너마저… 저물가에도 집세만 ‘껑충’

월세 너마저… 저물가에도 집세만 ‘껑충’

나상현 기자
입력 2020-12-02 22:06
업데이트 2020-12-03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1월 집세, 전세대란 여파 0.6% 상승
월세도 0.4% 뛰어… 4년 만에 최대폭

올 하반기 전세대란으로 11월 집세가 1년 전보다 0.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다. 월세도 4년 만에 가장 크게 뛰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집세는 전년 동월 대비 0.6% 올랐다. 구체적으로 전세는 2018년 12월(0.9%)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인 0.8%를 기록했고 월세도 0.4% 올라 2016년 11월(0.4%) 이후 가장 컸다.

통계청의 집세 조사는 월초 1만 가구를 표본조사해 이 중 계약을 갱신했거나 신규 계약을 체결한 가구의 전세 가격에 가중치를 적용해 반영한다. 구체적인 상승 폭 수치는 감정원과 차이가 날 수 있지만, 상승세나 하락세 같은 전반적인 흐름은 비슷하게 나타난다.

통계청은 “(집세) 상승에 대한 이유는 따로 보지 않는다”며 구체적인 원인 분석을 내놓진 않았지만 최근 전국적으로 나타난 전·월세난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부동산 정책이 실패하면서 수요와 공급 불균형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것”이라며 “단순히 공급이 부족한 게 아니라 국민이 원하는 지역에 원하는 주거 형태의 주택이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5.50(2015=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0.6% 증가했다. 집세 상승에도 불구하고 지난 10월(0.1%)에 이어 두 달째 0%대 저물가 흐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국제유가 하락, 교육 분야 지원 정책,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인한 외식물가 상승 폭 제한 등이 저물가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0-12-03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