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국 집값 14년 만에 최고 상승…서울 10.7%·세종 45%↑

올해 전국 집값 14년 만에 최고 상승…서울 10.7%·세종 45%↑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0-12-27 13:14
업데이트 2020-12-27 1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부동산 조사에서 매매가격 1년동안 8.4%↑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서울신문 DB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서울신문 DB
올해 전국 집값이 8.35% 올라 14년 만에 최고로 상승한 것으로 KB국민은행 조사 결과 나타났다. 전셋값은 6.54% 올라 9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27일 KB부동산이 발표한 월간KB주택시장동향에 따르면 12월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지난달 대비 1.36% 올랐다. 작년 말과 비교하면 8.35%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 11.60% 상승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값이 작년 말 대비 9.65% 올랐고, 단독은 3.87%, 연립은 6.47% 상승했다. 아파트와 단독은 14년 만에, 연립은 12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의 집값은 올해 10.70% 올랐다. 강북 지역(14개구)의 집값 상승률이 11.13%로, 강남 지역(11개구)의 10.28%보다 높았다.

서울의 아파트값은 13.06% 올라 2018년(13.56%) 이후 2년 만에 최고로 올랐다. 단독과 연립은 각각 6.81%, 8.18%씩 상승해 모두 2007년(7.08%·8.87%)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올해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크게 뛴 지역은 수도 이전 논의가 있었던 세종시로, 아파트값 기준 상승률이 무려 44.97%에 이르렀다. 전셋값 상승률은 27.61%를 기록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