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장 5명 중 관료 출신 없어
독립 첫 인사…“관치 탈피 기회”농협금융 김용환 회장 거취 촉각

차기 은행장 선임을 앞둔 수협은행에서 첫 내부 출신 행장이 나올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행장 공모 지원자 가운데 관료 출신이 한 명도 없기 때문인데요. 정부의 보은성 인사가 잦았던 수협은행에 이번처럼 관료 출신이 후보에 오르지 않은 것은 이례적입니다.
수협은행은 8일 행장후보추천위원회(행추위)를 열어 후보자 면접 후 최종 1명을 추천합니다. 행추위원은 정부 인사 3명(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해양수산부)과 중앙회 추천 인사 2명으로 구성됩니다. 5명의 행장 후보자 가운데 2명이 수협 출신이며 나머지 3명은 다른 민간 은행 출신으로 알려졌습니다. 현직인 이원태 행장은 지원하지 않았습니다. 2001년 정부로부터 1조원이 넘는 공적자금을 수혈받았던 수협은행은 그동안 정부 입김에서 자유롭지 않았던 게 사실입니다. 이 행장을 비롯해 역대 행장 대부분이 기재부나 예금보험공사 출신이었지요.
수협은행은 지난해 말 54년 만에 수협중앙회로부터 분리돼 독립 은행으로 출범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행장 공모가 그 어느 때보다 의미가 큽니다. 새 행장은 새 출발 모델을 만들어야 하는 동시에 2028년까지 공적자금 1조 1581억원을 갚아야 합니다. 한 수협은행원은 “내부, 외부를 떠나 본격적으로 수익을 내야 하는 중요한 시기를 맞아 금융을 잘 아는 전문경영인이 왔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드러냈습니다.
농협금융지주도 김용환 회장의 임기가 다음달 28일 끝남에 따라 이달 중 후보를 정해야 합니다. 지난해 빅배스(대규모 충당금을 쌓아 부실을 모두 털어 내는 것)를 단행하고도 흑자 전환에 성공해 김 회장의 연임 가능성도 조심스레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직까지 이렇다 할 경합자도 없다고 하네요. 조기 대선으로 새 정부가 들어서면 ‘단명’할 가능성이 있어 아무도 나서지 않는다는 일각의 해석 앞에 입맛이 씁쓸합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7-03-0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