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육박 대출금리·쥐꼬리 예금금리… 은행만 웃네

5% 육박 대출금리·쥐꼬리 예금금리… 은행만 웃네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7-03-12 18:06
업데이트 2017-03-13 0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금융권도 치솟아 서민 돈줄 조여…美 금리인상 예고에 계속 오를 듯

예금 금리는 1.51%까지 떨어져
예대금리차 4년 만에 첫 2% 확대
이미지 확대
탄핵 이후 ‘시계제로’의 한국 경제에서 금리마저 서민을 짓누르고 있다.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최고금리는 연 5%에 육박했다. 저축은행, 카드론 가릴 것 없이 제2금융권 대출금리도 치솟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돼 연말로 갈수록 ‘금리 뜀박질’은 더 빨라질 전망이다. 반면 예·적금 금리는 제자리걸음이라 은행들이 앉은 자리에서 손쉽게 폭리를 취하는 것 아니냐는 비난도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12일 은행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의 고정금리(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열흘 만에 0.02~0.15% 포인트 상승했다. KEB하나은행의 금리 상승폭이 가장 컸다. 2월 말 3.36∼4.68%에서 지난 10일 3.51∼4.83%로 0.15% 포인트 올랐다. 신한은행은 2월 말 3.32%∼4.43%에서 지난 10일 3.45∼4.56%로 0.13% 포인트 상승했다.

제2금융권 금리도 ‘질주’ 중이다.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가중평균금리는 지난해 12월만 해도 5.74%였지만 1월 6.09%로 0.35% 포인트 올랐다. 대출금리가 업권 구분 없이 전방위로 상승하고 있는 셈이다.

카드론도 마찬가지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신한카드와 하나카드를 제외한 5개 전업 카드사의 카드론 평균 금리가 모두 올랐다. 우리카드는 14.67%로 한 달간 0.57% 포인트 올랐고, KB국민카드도 0.38% 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예금금리는 역행 중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월 은행의 예금금리는 연 1.51%로 전달보다 오히려 0.05% 포인트 하락했다. 예금금리 하락은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만이다.

이 때문에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만 벌어지고 있다. 은행에서 돈을 빌린 대출자도, 은행에 돈을 맡긴 예금자도 울상인데 은행만 웃는 모양새다. 한은이 발표한 ‘2017년 1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평균 대출금리는 연 3.51%로 전달 대비 0.07% 포인트 상승했다. 예금금리가 연 1.51%이므로 예대금리 차는 4년 만에 처음으로 2%가 됐다. 4년 전인 2013년에는 대출금리가 5%였지만 그래도 예금금리는 3%였다.

문제는 앞으로 금리 질주와 예대금리 차 확대가 이어질 것이란 점이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자산분석팀장은 “미국이 올해 세 차례 금리 인상을 예고한 만큼 연말로 갈수록 시장금리는 계속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7-03-13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