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불안… 집살 때 아니다” 전세대출 지난달 1조원 급증

“금리 불안… 집살 때 아니다” 전세대출 지난달 1조원 급증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7-03-19 22:24
업데이트 2017-03-20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사철 거래량·전셋값 올라… 담보대출 줄고 매매시장 위축

이사철을 앞두고 전세자금 대출이 부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인상 국면에 접어들면서 집을 사는 것보다 일단 전세로 지내며 매매 시기를 지켜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은행의 지난달 전세대출 잔액은 35조 7757억원으로 1월 말(34조 5065억원)보다 1조 2692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시기 증가액(7531억원)과 비교해 70% 증가한 수치다.

봄 이사철을 앞두고 실수요자 중심으로 대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전·월세 거래 건수는 2만 1479건으로 1월(1만 3724건)보다 56.5%(7755건) 늘었다.

전셋값도 오르고 있다. 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조사에서 지난달 서울지역 평균 아파트 전셋값은 4억 2204만원으로 1월(4억 2153만원)보다 51만원 올랐다. 전국 아파트 전세 평균가격도 같은 기간 2억 3669만원에서 2억 3719만원으로 50만원 올랐다.

거래량이 늘어나고 전셋값이 오르면서 전·월세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신용대출, 마이너스 한도대출도 늘고 있는 추세다.

반면 매매시장은 위축된 모양새다. 지난해 말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적용으로 대출받기가 어려워진 데다 대출금리도 오르기 시작하면서 “집을 살 때가 아니다”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서다.

지난달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건수는 4699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924건)보다 소폭 줄었다.

손정락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지금 집을 사기보다는 전세를 한 번 더 살고 다음에 사자는 심리가 퍼지고 있다”면서 “3~4월 분위기가 올해 부동산 시장을 좌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7-03-20 14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