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신한맨 울린 이 한컷

[경제 블로그] 신한맨 울린 이 한컷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7-03-30 22:38
업데이트 2017-03-30 2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회장 이·취임 때 첫 ‘社旗’ 전달
신한·KB 사태 ‘아픈 역사’ 반복
정상 승계·화합의 상징 계기로
얼마 전 서울 중구 태평로 신한은행 본점에서 신한금융지주 회장 이·취임식이 열렸습니다. 한동우 회장이 조용병 신임 회장에게 사기(社旗)를 전달했지요. 최고경영자(CEO) 이·취임식 때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입니다. 그런데 이 ‘흔한’ 장면에 신한맨들은 울컥했다고 합니다.

알고 보니 창사 이래 첫 사기 전달식이었다고 하네요. 지금까지 사기를 건넨 이도, 건네받은 이도 없었다는 겁니다. 신한금융의 상징적인 존재인 라응찬 전 회장은 ‘신한사태’로 2010년 불명예 퇴진했습니다. 탓에 뒤이어 취임한 한동우 회장은 취임식 때 혼자서 깃발을 흔들어야 했습니다. 그 전에는 라 회장이 사실상 ‘20년 장기 집권’한 까닭에 사기 전달식을 할 일이 없었지요.

조용병 회장도 2015년 신한은행장 취임 때 혼자 깃발을 흔들어야 했습니다. 당시 서진원(2016년 작고) 행장이 와병 중이어서 이임식에 참석을 못 했기 때문입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한 번도 사기 전달식을 준비해 본 적이 없는 신한금융 실무진은 이번 회장 이·취임식 때도 식순에 이 ‘세리머니’를 넣지 않았다고 합니다. 사전에 식순을 훑어본 조 회장의 ‘문제 제기’에 부랴부랴 준비했다고 하네요. 한 신한금융 임원은 “남들 다 하는 사기 전달식을 우리는 이제야 처음 했다고 생각하니 과거의 신한사태 아픔 등이 밀려오면서 감회가 새로웠다”고 털어놓았습니다. 한 전 회장도 “사기를 건네는 순간 가슴이 먹먹해졌다”고 합니다.

어찌 보면 이는 신한뿐 아니라 국내 금융권의 ‘아픈 역사’를 상징적으로 말해 주는 일화입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수장이 불명예 퇴진했던 KB금융도 사실상 제대로 된 사기 전달식을 해 본 적이 없으니까요. 앞으로는 전임자가 후임자를 진정으로 축하해 주고 후임자는 사기를 건네받으며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는, 그런 정상적인 권력 승계를 좀더 많이 그리고 자주 보게 되기를 바라 봅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7-03-31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