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증 여파 커질수록 금리인하 가능성 솔솔

감염증 여파 커질수록 금리인하 가능성 솔솔

장은석 기자
입력 2020-02-05 01:50
수정 2020-02-05 06: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7일 금통위… “경제 전망도 수정”

이미지 확대
‘올해 첫 금통위’ 의사봉 두드리는 이주열 총재
‘올해 첫 금통위’ 의사봉 두드리는 이주열 총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020년 첫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0.1.17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한국은행은 오는 27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재 연 기준금리는 1.25%다. 금리를 내리면 가계부채가 늘고 부동산 시장으로 자금이 더 쏠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올 들어 회복 기미를 보이던 우리 경제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더 커져서다. 내수와 생산, 수출에 타격이 오는 상황에서 한은이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에 발맞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은은 그동안 “감염병만 갖고 금리를 결정하는 건 아니다”라는 원론적 입장을 고수했지만, 사태가 심각해지자 내부 움직임이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휴일이던 지난 2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긴급회의를 열어 신종 코로나로 인한 국제시장 동향과 전망, 국내시장 불안 대응책을 논의했다. 한은 관계자는 4일 “오는 27일 신종 코로나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 올해 경제 전망도 수정한다”며 “이를 감안해 금리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한은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가 퍼졌던 2015년 6월과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태가 터졌던 2003년 5월과 7월에 금리를 각각 내려서다. 금통위가 다음달을 건너뛰고 오는 4월에 열리는 점도 변수다. 이달에 금리를 동결했다가 신종 코로나로 경기가 얼어붙으면 한은이 금리 인하 시기를 놓쳤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신종 코로나 사태가 해소될 때까지 금리 하방 압력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최근 “(신종 코로나가) 세계경제에 단기적 경기 둔화를 초래할 수 있다”며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통화 완화 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20-02-0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