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 상환 유예조치도 재연장 검토

금융위원회 제공

은성수(오른쪽 두 번째) 금융위원장이 23일 서울 중구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5대 금융지주 회장들과의 조찬 간담회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금융위원회 제공
은 위원장은 이날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에 대한 원리금 상환 만기를 연장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은 위원장은 “5대 금융지주 회장들과 머리를 맞대고 어떻게 풀어나갈지 이야기를 나눴다”며 “저 홀로 결정할 수 있는 내용은 아니지만 대략 만기를 연장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등과 조찬 간담회를 가졌다. 앞서 은행권은 정부의 코로나19 금융 지원 방침에 따라 9월 말까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대출 원금 상환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도 유예했다. 애초 금융위와 시중은행들은 9월 말까지 코로나19 확산세가 잡혀 산업 현장이 활력을 되찾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연장 만기가 얼마 남지 않은 현재까지도 상황이 나아지지 않고 있다. 특히 대출 만기나 이자 상환을 수개월 더 연장하고 유예한다고 해도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중소기업의 위기가 그때까지 끝난다는 보장도 없다. 대출 만기를 또 미뤄 주자니 은행의 건전성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처지다. 다만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대출금을 회수해 버리면 “비 오는데 우산은 뺏는 격”이라는 비판이 나올 수도 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20-07-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