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금융위원장 온라인 기자간담회
부채 폭탄 우려엔 “금융권과 부실 점검”“공매도 전문투자자에 허용 뒤 넓혀가야”


은성수 금융위원장
은 위원장은 14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코로나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금융 지원이 언제 (종료)되는지에 대해서는 지금 단계에서 말하긴 어렵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특히 “대출 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를 1년 하고 끝낼지 더 연장할지 모르겠다”고 말해 추가 연장 가능성도 내비쳤다. 금융 당국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도우려 지난 4월 시작한 이 조치는 애초 지난 9월 종료하려 했지만 한 차례 연장돼 내년 3월까지로 연장됐다.
금융 당국도 ‘대출금 갚는 시한을 계속 연장해 주면 부실이 터질 시점만 늦추는 것일 뿐’이라는 비판을 알고 있다. 은 위원장도 이런 지적에 대해 “합리적 우려”라고 평가했다.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중소기업·소상공인 이자상환 유예금액은 11월 기준 950억원이었다. 또 대출 만기연장 규모는 모두 109조 1509억원으로 집계됐다. 그는 “금융권과 함께 부실이 어느 정도 되는지 건전성 점검을 하고 대손충당금 적립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최근 가계대출 급증세를 두고는 “가계 대출 억제라는 목표와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적극적인 금융 지원이라는 목표를 모두 포기할 수 없다”며 정책 추진에 어려움을 토로했다. 다만 지금은 전염병 때문에 무너지는 가계가 없도록 자금을 공급하는 게 중점임을 밝혔다.
은 위원장은 공매도 제도 개선과 관련해 “개인 투자자도 공매도를 할 수 있게 하자는 목소리도 있는데 개인적 의견으로는 개인 투자자는 공매도를 안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사모펀드 규제를 풀어 경험 없는 일반인들도 투자했다가 피해 보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데, 주식시장에서도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은 위원장은 “사모펀드에 (투자 경험이 있고 투자금이 3억원 이상인 사람을) 사모펀드 전문투자자라고 하듯이 공매도도 책임을 감당할 수 있는 분(전문투자자)들한테 일단 허용하고 넓혀 가는 것이 타협점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20-12-1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