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에 풀린 돈 3150조 10월 한달새 34조 급증

시중에 풀린 돈 3150조 10월 한달새 34조 급증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0-12-15 17:56
업데이트 2020-12-16 0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중에 풀린 돈이 3150조원을 돌파했다. 월별 기준으로 역대 두 번째 규모의 증가액을 기록했다. 넘쳐나는 돈이 부동산과 주식으로 쏠리면서 자산 거품을 일으키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10월 광의 통화량(M2 평잔)은 3150조 5000억원으로 9월보다 34조 7000억원(1.1%) 증가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278조 6000억원(9.7%) 늘었다.

M2에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을 포함해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등이 포함된 것으로 통화 및 유동성 지표 중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된다.

10월 증가액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6년 이후 지난 5월(35조 4000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18조 5000억원, 기업 10조 7000억원, 기타금융기관 9조 8000억원, 기타 부문이 1조 7000억원으로 모든 부문에서 늘었다. 특히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증가 폭은 2006년 6월(21조 1000억원) 이후 14년 4개월 만에 가장 컸다. 한은 측은 “9월 말 추석 상여금 유입 등으로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을 중심으로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품별로는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이 9조 6000억원, 요구불예금 7조원, 2년 미만 금전신탁 6조 2000억원, 수익증권이 4조 9000억원 각각 늘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20-12-16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