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대마진 비판에 일제히 최대 0.4%P ↑
2차 기준금리 올리자마자 ‘이례적 행보’
저축銀도 작년 예대마진 수익 5조원대
일각 “대출금리 인상 위한 사전정지작업”

연합뉴스

저축은행 수장들 만난 금감원장
정은보(오른쪽 첫 번째) 금융감독원장이 1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열린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은 지난달 26일부터 차례로 수신금리를 최대 0.4% 포인트 올렸다. 한은이 지난달 25일 올 들어 두 번째로 기준금리를 올리자마자 곧바로 수신금리를 기준금리 인상(0.25% 포인트) 폭보다 높게 올렸다.
지난 8월 한은의 1차 기준금리 인상 때와는 상반된 행보다. 시중은행은 한은의 1차 금리 인상을 앞두고서는 1월부터 5월까지 수신금리를 내리다가 6월 들어 올리기 시작했다. 1월 0.87%에서 10월 1.29%로 0.42% 포인트 올랐다. 반면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금리는 1월부터 8월까지 줄곧 올렸다. 주담대는 1월 2.63%에서 10월 3.26%로 0.63% 포인트, 신용대출은 1월 3.46%에서 10월 4.62%로 1.16% 포인트 올랐다. 주담대와 신용대출은 각각 수신금리보다 0.21% 포인트, 0.74% 포인트 급등했다. 기준금리 인상 전에 대출금리는 연이어 선반영해 올리고 예금금리는 찔끔 올리는 교묘한 꼼수로 예대마진에 따른 수조원대 수익을 올린 것이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 교수는 “은행 입장에서는 규제 때문에 대출 총량 확대가 어려운 데다 증시 하락 등의 여파로 자금이 은행으로 흘러들어오고 있어 굳이 예대금리차를 좁힐 이유가 없다”면서 “단순히 수신금리를 일부 올리는 것만으로는 시장에서 체감할 만한 예대금리차 완화가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시중은행뿐 아니라 저축은행도 예대마진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지난해 예대마진 수익(이자이익)은 5조 310억원으로 2018년 대비 20.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은보 금감원장은 이날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예대금리차와 관련해 최근에 사회적인 지적이 있어 1금융권이든 2금융권이든 점검하고 있다”면서 “예대금리차를 낮춰줘야 될 부분이 있다면 그렇게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2021-12-02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