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픽스 4% ‘턱밑’… 주담대 금리 8% ‘눈앞’

코픽스 4% ‘턱밑’… 주담대 금리 8% ‘눈앞’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22-11-15 20:48
수정 2022-11-16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월 3.98%… 9월보다 0.58%P↑
레고랜드 여파 자금 조달비 상승
국민銀 변동금리 최고 7.16%로
우리銀 6.32~7.12%로 상향조정

은행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4% 턱밑까지 치솟으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0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9월(3.40%)보다 0.58% 포인트 높은 3.98%로 집계됐다. 이는 2010년 1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 공시를 시작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종전까지는 2011년 7월 3.80%가 최고치였다. 전월 대비 변동폭(0.58% 포인트) 역시 공시 이후 최대로 집계됐다.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속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린 데다 레고랜드발 ‘돈맥경화’ 여파로 자금 조달 비용이 높아지면서 코픽스가 치솟았다는 분석이다.

코픽스는 NH농협·신한·우리·SC제일·하나·기업·KB국민·한국씨티은행 등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 변동이 반영된다. 코픽스가 떨어지면 그만큼 은행이 적은 이자를 주고 돈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이다. 코픽스가 오르면 그 반대다.

잔액 기준 코픽스는 9월 2.52%에서 10월 2.85%로 0.33% 포인트 올랐다. 잔액 기준 코픽스는 2010년 1월(4.11%) 이후 가장 높았고, 상승 폭 역시 공시를 시작한 이때 이후로 최대를 기록했다.

신규 취급액 코픽스와 잔액 기준 코픽스에는 정기예금, 정기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양도성예금증서, 환매조건부채권매도, 표지어음매출, 금융채(후순위채 및 전환사채 제외) 수신상품의 금리가 반영된다.

2019년 6월 새로 도입한 ‘신잔액기준 코픽스’는 10월 2.36%로 한 달 새 0.32% 포인트 높아졌다. 역시 공시가 시작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상승 폭 역시 가장 컸다.

시중은행들은 당장 16일부터 신규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에 이날 공개된 코픽스 금리를 반영한다. KB국민은행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가 연 5.18∼6.58%에서 5.76∼7.16%로, 신잔액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는 연 4.48∼5.88%에서 4.80∼6.20%로 높아진다.

신규 코픽스 기준 전세자금대출(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의 금리도 연 5.82∼7.22%로 코픽스 상승 폭(0.58% 포인트)만큼 오른다. 우리은행 주택담보대출 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도 연 5.74∼6.54%에서 6.32∼7.12%로 상향 조정된다. 이에 따라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변동금리) 금리는 상단이 7%를 넘어서 본격적인 주담대 금리 7% 시대가 시작된다.
2022-11-1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