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비은행 계열사 인수
어업인·조합 지원도 확대

박지환 기자

23일 서울 송파구 수협중앙회 본사에서 열린 ‘공적자금 조기상환 기념식’에서 임준택 수협중앙회장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박지환 기자
수협중앙회는 23일 서울 송파구 본사에서 ‘공적자금 조기상환 기념식’을 열고 자회사인 수협은행에 자산운용·증권·캐피털 등 비은행 계열사를 두는 것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수협중앙회는 2001년 정부로부터 지원받은 공적자금 1조 1581억원 중 미상환 잔액 7574억원에 해당하는 국채를 지난 9월 예금보험공사에 전달해 공적자금 상환 의무에서 벗어났다.
금융지주 체제 전환은 어업인을 비롯한 전국 91곳의 수협조합 지원 확대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내년 상반기까지 투입 자본 대비 성장성과 수익성이 높은 자산운용사 등 소형 비은행 금융회사를 인수한다는 계획이다. 금융지주 인가 요청을 위한 최소한의 자회사 요건을 갖추게 되면 내년 3분기부터 금융지주 설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금융지주 설립 이후에는 증권, 캐피털 등 비은행 금융사를 금융지주 자회사로 편입해 2030년까지 사업 다각화를 완성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수협중앙회는 그간 공적자금 상환에만 사용했던 은행 배당금 등을 토대로 어업인과 회원조합 지원 규모를 연간 2000억원으로 늘리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또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부산공동어시장의 지분 인수도 추진한다. 비대면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해 유통 단계를 줄이고 저가형 활어전문점 등 수산물 전문 프랜차이즈 사업에도 뛰어들 계획이다.
임준택 수협중앙회장은 “공적자금 상환을 계기로 어촌과 수산업에 더욱 가까이 다가가 대한민국 경제발전에 이바지하는 협동조합으로 새롭게 태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2022-11-2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