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신규 코픽스 3.82%
한 달 사이 0.47%P 하락
“하단 3%대 진입 가능성”


서울의 한 은행 대출 창구. 연합뉴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1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82%로 한 달 전(4.29%)보다 0.47% 포인트 하락했다. 은행연합회가 2010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10월 3.98%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3%대로 내렸다. 다만 비교적 시장금리 변동이 서서히 반영되는 잔액 기준 코픽스(3.63%)와 신잔액 기준 코픽스(3.02%)는 각각 한 달 사이 0.11% 포인트, 0.10% 포인트 올랐다.
코픽스는 은행의 자금조달원인 정기 예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금융채 등의 평균 비용으로 산출한다. 코픽스가 떨어졌다는 건 그만큼 은행이 시장에서 싼 값에 자금을 조달했다는 얘기다. 은행들은 5%대로 치솟았던 은행채(1년·AAA) 금리가 3%대로 안정화되면서 정기예금 금리를 비슷한 수준으로 인하했다.
이날 기준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신규코픽스 기준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4.86~6.89%다. 코픽스 변동분은 16일부터 반영돼 4% 중반~6% 중반 수준으로 주담대 변동금리를 끌어내릴 전망이다. 정부의 은행 ‘돈장사 비판’과 통화당국의 긴축 종료에 대한 기대 등으로 은행들이 추가로 대출 금리를 더 낮출 가능성도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향후 대출금리는 꾸준히 떨어질 것”이라면서 “3~4개월 내에 주담대 하단이 3%대 후반으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출을 앞두고 있는 이들의 셈법은 복잡해질 전망이다. 이날 기준으로는 은행채 5년물을 준거금리로 삼는 고정금리 주담대 금리가 연 4.2~6.28%로 상·하단이 변동금리 주담대보다 낮다. 금융권 관계자는 “신규코픽스가 큰 폭으로 낮아졌다고 해도 아직 남은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대출 갈아타기 가능성, 향후 금리 수준 등을 충분히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