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혁신 사라졌다고? 전기차 등 다른 분야 옮겼을 뿐”

“애플 혁신 사라졌다고? 전기차 등 다른 분야 옮겼을 뿐”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8-07-19 22:14
수정 2018-07-19 22: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걸 前 애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아이’ 시리즈 기획한 광고·판촉 전문가
“스마트폰은 성숙돼 큰 변화 어려워
한국 기업, 고객 경험을 최우선시해야”


“애플에 혁신이 사라졌다고요? 애플은 스마트폰이 아닌 다른 플랫폼에서 혁신할 겁니다.”
이미지 확대
켄 시걸 전 애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켄 시걸 전 애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17년간 애플의 광고와 마케팅을 이끌어 온 켄 시걸 전 애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스티브 잡스 사후 애플이 혁신을 잃었다는 비판에 대해 “애플에 대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일침을 가했다. 켄 시걸은 19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진행된 ‘제43회 대한상공회의소 제주포럼’에 특별강연자로 나서 단순함의 미학으로 전 세계를 사로잡은 애플의 마케팅 기법에 대해 이야기했다.

켄 시걸은 애플을 비롯해 넥스트, 인텔, 델, IBM, BMW 등 유명 글로벌 기업의 광고와 마케팅을 맡아 온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1997년 잡스가 고사 직전의 애플에 복귀했을 때 ‘다르게 생각하라’(Think Different) 캠페인을 기획했고, 이듬해 출시된 개인용 PC에 ‘아이맥’(iMac)이라는 이름을 제안하며 애플의 ‘아이’(i) 시리즈를 탄생시킨 인물이다.

그는 강연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금의 애플이 잡스가 살아 있을 때와 같을 수는 없다”면서도 “여전히 유능하고 창의적인 인재들이 애플에서 일하고 있으며 앞으로 전진하고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는 “애플의 혁신 속도가 둔화됐다는 비판이 많지만, 아이팟이 처음 출시된 뒤 아이폰이 나오기까지 6년이 걸렸다”면서 “혁신의 속도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스마트폰은 성숙된 플랫폼으로 예전만큼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혁신은 웨어러블이나 자동차 같은 다른 플랫폼에서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애플은 새로운 카테고리의 제품을 만들기보다 이미 있는 카테고리에서 이전에 없던 혁신을 담은 제품을 만든다”면서 “전기차를 예로 든다면 시장에 많은 전기차들이 출시된 뒤 모든 영역에서 기존에 불가능했던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차를 내놓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켄 시걸은 삼성 등 국내 기업에 “고객의 경험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아이폰X의 페이스 아이디(얼굴을 3차원으로 인식해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를 이용하며 몇 달 동안 미소를 지을 수밖에 없었다”면서 “사람이 기술에 참여한다는 느낌에 기뻤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의 스마트폰은 하드웨어에 주력하며 발전해 왔는데, 사용자 경험이 기술을 지금보다 더 추동하도록 하는 고민을 많이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귀포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8-07-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