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협상 주목하는 국내 기업들 “불확실성 커… 단기적 성과 안 나올 것”

미중 무역협상 주목하는 국내 기업들 “불확실성 커… 단기적 성과 안 나올 것”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20-01-13 18:06
수정 2020-01-14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총 “글로벌 교역 활기 되찾을 것”

파국 막은 ‘휴전’ 단계… 부정적 평가도

오는 15일(현지시간) 미국과 중국의 1단계 무역 합의를 앞두고 기업들의 관심이 크다. 두 나라에 대한 국내기업의 수출 의존도가 워낙 높아서다. 하지만 예전 관계를 회복하기까지 간극이 커 상당 기간 ‘통상 긴장’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다수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13일 “지난해 우리 경제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더불어 미중 무역 분쟁, 일본의 수출 규제 등 통제할 수 없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이번 1단계 무역합의로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되고 글로벌 교역이 다시금 활기를 되찾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그간 기업 투자의 발목을 잡고 중간재 수출 등에 걸림돌로 작용했던 만큼 앞으로 투자와 교역이 소폭이라도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감을 드러낸 것이다. 재계는 중국이 경기부양에 나설 경우 건설, 기계, 화학 업종을 수혜주로 꼽는다. 장기적으로는 국내 전기전자업체와 게임·미디어, 면세 업종이 혜택을 볼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아직은 갈 길이 먼 ‘스몰딜’에 불과하다는 관측이 대부분이다. 이번 합의는 파국을 막기 위한 ‘휴전’ 수준의 논의로, 광범위한 합의를 위한 토대 정도만 마련했다는 것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이 실제 약속 이행을 둘러싸고 누차 번복한 이력이 있고 2단계 합의에 대한 이견이 커 불확실성이 상당히 남아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단기적으로 시장의 기대에 부합할 만한 성과는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20-01-1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