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회사들 中에 코로나 기부 릴레이 왜? 안했다간 미운털 우려… “어느 선까지 하나”

게임 회사들 中에 코로나 기부 릴레이 왜? 안했다간 미운털 우려… “어느 선까지 하나”

한재희 기자
입력 2020-02-10 17:46
수정 2020-02-11 02: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제블로그] 서비스 진행 업체들 중심 개별 기부

게임 허가증 재개 대비 눈치작전도
학회는 특정업체 비판… 성금 모금
네티즌 “감사”… 관계 해소 계기로
이미지 확대
요즘 국내 게임 기업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때문에 의외의 고민에 빠졌습니다. 중국에 어느 정도 기부를 해야 하냐는 것이지요.

그도 그럴 것이 중국 소비자들은 국내 게임사들의 최대 고객입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19 게임백서’에 따르면 2018년 국내 게임 산업 수출액 전체(7조 546억원) 중 중국은 가장 많은 비율인 30.8%(2조 1728억원)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중국에서 게임 서비스가 진행 중인 기업 위주로 ‘기부 릴레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크로스파이어’로 중국에서 한때 연간 1조원이 넘는 매출을 냈던 스마일게이트는 최근 주한 중국대사에게 약 17억원의 성금을 전달했습니다. ‘미르의 전설’ 지식재산권(IP)으로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위메이드도 중국 허베이성의 자선총회(기부단체)에 약 1억 7000만원을, 중국에서 사랑받는 ‘배틀그라운드’의 개발사 펍지도 약 5억원을 중국 적십자에 기탁했습니다. ‘던전앤파이터’로 매년 중국에서 1조원 가까운 매출을 내는 넥슨도 현재 논의 중입니다.

눈치작전도 펼쳐집니다. 기부를 안 했다가 괜히 중국 정부에 미운털이 박힐까 봐 걱정하는 것이지요. 중국 정부는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국내 배치 문제로 긴장감이 높던 2017년 3월 이후 한국 게임에 대한 판호(허가증)를 한 건도 안 내주고 있습니다. 만약 판호 발급이 재개되면 중국이 어려울 때 도움을 줬던 업체들이 먼저 혜택을 입게 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옵니다.

이를 걱정한 위정현 한국게임학회 회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중국에 개별적으로 기부한 특정 업체를 거론하며 “혼자 거금을 쾌척하면 중국 정부에 심어주는 이미지가 더 강하다고 생각한 것인가”라고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한국게임학회는 국내 학회나 업체들로부터 성금을 모아 한꺼번에 기부를 하자는 입장입니다. 현재까지 800여명에게 기부를 받았으며 이번 주 중 전달할 계획입니다. 중국의 많은 네티즌들은 “내가 구매한 게임 아이템이 기부금이 돼 돌아왔다”며 감사함을 표하고 있는데 아무쪼록 이번 기부가 ‘억지춘향’식으로 흐르기보단 아직까지 어색한 한중 관계를 해소하는 기폭제로 작용하면 좋겠습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20-02-1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