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블로그]‘원앤온리타워’ 국제건축대상 수상

코오롱 제공

2018년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에 들어선 코오롱 원앤온리타워 전경. 니트 의류를 늘렸을 때 나타나는 직조 무늬 패턴을 모티브로 외관을 장식했다.
코오롱 제공
코오롱 제공
9일 코오롱그룹에 따르면 이 건물은 지난 8일 미국 시카고 아테니엄 건축디자인박물관이 주최하는 ‘국제건축대상 2020’에서 기업빌딩부문 대상을 받았다. 세계적 권위를 가진 건축계 대표적인 상으로 한국에서는 원앤온리타워가 처음 받았다. 2018년 총면적 7만 6349㎡(약 2만 3095평)에 총 3개 동으로 완공됐다.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미국 건축가 톰 메인과 그가 설립한 건축가 그룹 모포시스가 설계하고 코오롱글로벌이 시공했다.
건물 내부는 ‘사통팔달’ 구조로 돼 있다. 연구동과 사무동 사이 계단으로 된 공용 공간 ‘그랜드 스테어’는 건물 내 모든 층과 연결됐다. 동과 동을 연결하는 내부 통로도 막힘이 없다. 보안이 철저한 다른 대기업의 사무실과 달리 다른 기업 직원들과도 건물 안에서 얼마든지 마주치며 인사할 수 있다.
코오롱그룹은 ‘공간이 조직의 문화를 만든다’는 이 전 회장의 경영철학이 건물에 오롯이 녹아 있다고 했다. 평소 코오롱인끼리의 소통과 협업을 강조한 이 회장의 ‘심통(心通·마음이 통하다) 철학’을 형상화했다는 것이다. 이 전 회장은 2018년 4월 입주 당시 “원앤온리타워는 임직원 모두가 자연스럽게 소통하고 협업하도록 만들어졌다”면서 “코오롱이 융복합 연구개발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성공적인 미래와 연결하는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로부터 7개월 뒤인 같은 해 11월 이 전 회장은 돌연 회장직을 사임하며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원앤온리타워는 이 전 회장이 그룹 총수 시절 남긴 최후의 작품이 돼 버렸다. 코오롱그룹 회장 자리는 2년째 공석이다. 이 전 회장은 지주사인 코오롱의 지분 49.74%를 보유한 것을 비롯해 그룹 최대주주 지위는 유지하고 있다.
이 전 회장이 경영에서 손을 뗀 이후 그가 남긴 건물은 빛을 보고 있지만 정작 자신은 인보사케이주(인보사) 의혹으로 고초을 겪고 있다. 인보사는 코오롱생명과학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다. 이 전 회장은 인보사 성분을 허가받지 않은 다른 성분으로 바꿔 제조·판매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서울중앙지법은 지난 7월 “소명이 부족하다”며 이 전 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앞서 “청년 이웅열로 돌아가 창업의 길을 걷겠다”고 밝혔던 이 전 회장은 스타트업 창업 등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2020-09-1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