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의 직급 파괴·네이버의 역량제 도입…기업들은 인사 실험 중

SK이노의 직급 파괴·네이버의 역량제 도입…기업들은 인사 실험 중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0-12-14 16:43
업데이트 2020-12-14 17: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K이노베이션 부장급 이하 직급 단일화
대외 호칭 PM으로 통일..승진 개념 없애
대우조선해양은 6단계 직위 3단계로 축소
호칭 단순화, 직급 파괴 추세 가속화 전망
“상급 직원의 반발, 박탈감 관리가 관건”

SK이노베이션은 내년부터 신입사원부터 부장까지 PM으로 호칭을 통일하며 직급을 단일화하고 승진 개념도 없앤다고 14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 제공
SK이노베이션은 내년부터 신입사원부터 부장까지 PM으로 호칭을 통일하며 직급을 단일화하고 승진 개념도 없앤다고 14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 제공
연말 인사와 조직 개편을 단행한 기업들 사이에서 직급 파괴,역량제 도입 등 새로운 인사 제도 실험이 잇따르고 있다. 창의적 아이디어 발현, 연차나 직급이 아닌 개인의 성과에 기반한 대우과 업무 부여, 유연한 인력 활용 등에 초점을 둔 인사 제도 혁신으로 기업의 성장까지 이루겠다는 복안이다. 일각에서는 인사 적체 문제를 해결하고 연공서열에 따른 급여 지출을 줄이려는 고육책이라는 시각도 있다.

14일 SK이노베이션은 사원·대리·과장·부장 등 부장급 이하 직급을 하나의 직급으로 단일화하고 승진 개념도 없앤다고 밝혔다. 단일 직급에 따른 대외 호칭은 PM(프로페셔널 매니저)으로 내년 1월 1일부터 적용한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많은 기업들이 호칭은 통일해도 관리 목적으로 직급 체계는 유지하는데 이번 시도는 기존의 직급 단계마저 없앤 진정한 ‘직급 파괴’”라며 “국내 제조업 대기업 가운데 최초의 시도”라고 설명했다.

최근 대우조선해양도 기존 6단계로 운영하던 사무기술직 직위·호칭 체계를 사원·선임·책임 등 3단계로 축소했다. 직원들이 직급에 갇히지 않고 수평적인 문화 속에서 성과 창출에 집중할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다.

삼양그룹도 이달초 임원 인사를 내며 상무, 부사장이란 임원 대신 직무 중심으로 호칭을 바꾼다고 밝혔다. 수평적 의사소통 문화 확산, 직무에 대한 책임 경영을 강화하려는 차원이다.

지난 2014년 직급제를 없앤 네이버는 내년 상반기부터 기술직 직군에 한해 업무에서의 전문성, 역할, 영향력 등을 5단계(3~7단계)로 등급을 나눠 부여하는 역량 인증제를 도입한다. 개인의 성장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스스로 동기 부여를 할 수 있게 하려는 시도라는 설명이다. 등급은 직급이 아니고 조직장과 직원 본인만 알고 대외적으로 공개하지 않아 기존에 직원간에 ‘님’으로 부르던 호칭 문화는 유지된다.

앞으로 호칭를 단순화하거나 직급을 없애는 인사 제도 변화는 업계의 대세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박준 대한상공회의소 기업문화팀장은 “직급에 따라 연봉이 정해지던 과거와 달리 성과 중심으로 평가가 이뤄지는 만큼 상위 직급에 있던 직원들의 반발이나 상대적 박탈감 등을 조직에서 어떻게 잘 관리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