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밭’ 정용진과 ‘행복정담’ 최태원…오너들이 유튜브에 떴다

‘배추밭’ 정용진과 ‘행복정담’ 최태원…오너들이 유튜브에 떴다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0-12-26 07:00
업데이트 2020-12-26 07: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배추를 활용한 요리를 하고 있다.
이마트 유튜브 캡처
이미지 확대
최태원 SK 회장
최태원 SK 회장 최태원 SK 회장이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직원들과 대화하고 있다.
SK 유튜브 캡처
# 파란 하늘 아래 끝없이 펼쳐지는 녹색 배추밭. 정용진(52) 신세계 부회장이 만족스러운 표정으로 배추 한 포기를 뽑아든다. 이내 정갈하게 차려입고는 익숙한 솜씨로 배추전과 배추쌈, 겉절이를 뚝딱 만들어낸다. 영상 말미 손수 만든 배추요리를 맛있게 먹는 모습에선 차세대 ‘먹방’ 스타의 기질도 엿볼 수 있다.

# 검은색 헌팅캡과 쉐프복을 차려입은 최태원(60) SK 회장이 SK하이닉스 2년차 젊은 사원과 주먹을 부딪치며 ‘힙한’ 인사를 나눈다. 이들이 만난 이유는 SK에 30년 가까이 근무한 직원들에게 최 회장이 직접 요리를 대접하기 위해서다. 회장이 손수 만든 음식에 “짜다”는 직언도 서슴지 않는다. 편안한 분위기 속 최 회장과 직원들은 자신들의 청춘을 바친 회사와 인생에 대한 속 깊은 얘기를 터놓는다.

재계 오너들이 유튜브를 활용한 소통에 나서고 있다. 권위적일 거란 편견에서 벗어나 직원과 소비자에게 친근한 이미지를 강조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정 부회장은 자타가 공인하는 ‘인스타그램 스타’다. 그의 인스타그램 아이디(ID)는 ‘yj_loves’다. 25일 49만 9000여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게시물은 25개에 불과하다. 게시물은 정 부회장이 직접 관리한다. 신세계그룹 홍보팀 관계자들도 정 부회장이 어떤 게시물을 올리고 지우는지 알지 못한다. 가끔 의도를 이해할 수 없는 게시물이 올라오기도 해 홍보팀을 당황케 한 적도 많다. 가장 최근으로는 지난 24일 올린 ‘옛날통닭’ 관련 게시물이다. 신세계 한식 브랜드 ‘올반’에서 내놓은 옛날통닭 제품을 홍보하는 내용. 글도 매우 짧고 간결하다. ‘#올반 #옛날통닭 #강추 #에어프라이어 180도 20분’

이마트는 정 부회장의 인기를 십분 활용했다. 1분 54초 광고 영상 모델을 정 부회장을 쓰기로 한 것이다. 이마트가 공수하는 해남배추를 홍보하는 영상이다. 정 부회장이 배추밭에 직접 나와 배추도 뽑고 요리도 한다. 지난 17일에 올라온 이 동영상은 약 일주일 만에 조회 수 66만 8000여회(25일 기준)를 기록했다.

최 회장도 소통을 강조하는 재계 오너 중 하나다. 직접 계정을 운영하는 것까지는 아니지만 유튜브 SK 채널을 통해 간간이 모습을 드러내며 친근한 이미지를 주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최 회장의 경영 철학인 ‘행복’을 강조하는 모습이다. SK 구성원들을 살뜰히 챙기는 모습을 대외적으로 알리면서 기업 이미지 제고에 힘쓰고 있다. 앞서 지난 7월에는 사내방송에 등장해 직접 ‘라면먹방’을 선보이기도 했다.

SK그룹이 지난 22일 올린 ‘행복정담 SK와 인생’은 최 회장과 막내급 젊은 직원이 30년 이상 SK에 몸담은 직원들에게 음식을 대접한다는 컨셉이다. 22분간 최 회장과 직원들의 진솔한 대화가 이어진다. 25일 기준 조회 수는 7600여회에 이른다.

정 부회장과 최 회장의 행보가 다른 기업 총수에게도 영향을 줄 것인지 관심이 쏠린다. 일각에서는 총수 개인의 성격과 의지에 달린 문제이기 때문에 쉽지 않을 거란 견해를 내놓는다. 오너리스크가 심한 기업은 오히려 이런 움직임이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 재계에서 세대교체가 본격적으로 일어나는 가운데 회사의 이미지를 반전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재계 전문가인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과거 1세대 창업자는 ‘명령해서 움직이게 하는’ ‘명동’ 리더십이 강했지만 최근 오너 3~4세들은 ‘소통과 공감대를 통해 직원과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소공동’ 리더십을 보이고 있다”면서 “앞으로 총수를 비롯한 오너일가들은 권위라는 무거운 옷을 벗고 수평적이고 쌍방향 소통을 강조하는 활동을 통해 기업의 실적 향상은 물론 우수한 인재를 끌어들이는 데도 높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