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회장 과거 ‘대림코퍼’ 통해 간접 지배
DL이앤씨 지분 DL과 교환해 지분 확대
李회장 대림 통해 DL 지분 49% 확보 가능


이해욱 DL그룹 회장
26일 DL 주가는 상장 첫날인 전날보다 4500원 하락한 7만 100원에, DL이앤씨는 1000원 하락한 12만 6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시가총액 합은 3조 5313억원으로 분할 전 시가총액(2조 8900억원) 대비 22.19% 뛰었다. 앞서 DL그룹은 그동안 지주사 역할을 했던 대림코퍼레이션의 사명을 대림으로 바꾸고 주요 회사인 대림산업을 ▲DL ▲DL이앤씨(건설) ▲DL케미칼(석유·화학) 3개사로 쪼갰다.
재계는 회사 분할이 이 회장의 지배력 강화를 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이 회장은 대림산업 지분(특수관계인 지분 포함 1.44%)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대림코퍼레이션 지분(52.26%)을 들고 대림산업을 간접 지배했다. 대림코퍼레이션의 대림산업 지분이 21.67%에 불과해 절대적인 지배력을 갖진 못했다. 분할 전 대림산업의 나머지 지분은 국민연금(13.04%), 외국인 및 기타(65.29%) 등이 보유해 오너가는 꾸준히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기관투자자의 투자책임 원칙) 부담, 시민단체 압력 등을 받기도 했다.


기업 분할로 DL과 DL이앤씨 지분을 각각 21.67%씩 갖게 된 대림은 DL이앤씨 지분을 DL에 유상증자 등을 통해 교환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DL은 DL이앤씨를 자회사로 지배할 수 있고 이 회장이 최대 주주인 대림은 최대 49.84%까지 DL 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추정이다. ‘이해욱→대림코퍼레이션→대림산업’으로 이어지던 기존 지배 구조가 분할 이후 ‘이해욱→대림→DL→DL이앤씨’로 바뀌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림이 30% 이상으로만 지분율을 확대해도 이 회장의 경영권 방어에 유리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대림과 DL의 향후 합병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재계는 계열사 간 합병 등을 통해 지주사 전환 과정을 거치는 식으로 대주주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일이 많다. DL 측은 합병설을 일축했다.
이 회장은 2019년 오너 일가가 소유한 계열사를 부당 지원한 혐의로 기소돼 재판 중이다. 지난해 3월 대림산업 사내이사에서도 물러났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21-01-2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