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네이버, 자사주 성과급… ‘뭇매’ SK하이닉스와는 다른 행보

카카오·네이버, 자사주 성과급… ‘뭇매’ SK하이닉스와는 다른 행보

한재희 기자
입력 2021-02-08 17:42
업데이트 2021-02-09 08: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끝나지 않은 대기업 ‘성과급 논쟁’

카카오, 창사 첫 임직원에게 10주씩 지급
네이버도 임원 90명 대상 ‘자사주 성과급’
“젊은 직원 권리 주장·사측 인재 확보 반영”
SK텔레콤은 성과급 지급 여부 협상 중
이미지 확대
‘성과급 논쟁’이 산업계를 뜨겁게 달군 가운데 역대 최고 실적을 거둔 네이버와 카카오가 자사주를 ‘보너스’로 적극 나눠주며 확실한 보상을 해주고 있다.

카카오는 8일 전체 임직원들에게 10주씩 성과급 명목으로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개인당 455만원 상당이다. 지급 대상은 2619명으로 총 규모는 119억원에 달한다. 카카오가 전직원에게 자사주를 상여금으로 나눠주는 것은 창사 이래 처음이다. 회사 관계자는 “자사주 지급은 이달 중순쯤에 나가는 현금 성과급과는 별도”라면서 “자사주를 지급해 임직원들이 회사와 같이 성장할 수 있단 동기부여를 만들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최근 소속 임원 90명에게 총 8820주(31억원) 상당의 자사주를 성과급의 일부로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별도로 2019년 2월부터는 매년 전직원에게 1000만원 상당의 스톡옵션을 나눠주고 있다. 현재 네이버 주가가 36만원을 상회하는 점을 고려하면 인당 차익은 1800만원에 달할 전망이다. 네이버도 개인별 업무 실적에 따른 현금 성과급은 별도로 지급하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이렇게 후한 성과급을 줄 수 있는 것은 가파른 성장세 덕분이다. 네이버는 지난해 매출 5조 3041억원, 영업이익 1조 2153억원으로 역대 최고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9일 실적발표를 앞둔 카카오도 지난해 4조원대 매출에 4500억원대 영업이익을 거두며 역대 가장 좋은 실적이 유력시된다.

앞서 SK하이닉스와 SK텔레콤은 지난해 ‘언택트 수혜’를 보면서 실적이 좋았는데도 예상보다 성과급이 적다는 이유로 직원들로부터 ‘뭇매’를 맞았다. 연봉의 20%가량의 성과급을 책정했던 SK하이닉스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연봉을 반납하겠다고 달랬지만 논란이 계속됐다. 결국 중앙노사위원회를 열어 내년부터 성과급 산정을 영업이익과 연동하기로 했고, 임직원들이 우리사주를 매입할 때 연봉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혜택으로 제공하기로 하면서 사태를 진정시켰다. SK텔레콤도 성과급을 주식으로 받을 수 있지만 그 액수가 기대에 못 미쳤다는 이유로 노조가 사측에 문제를 제기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예전에는 회사에서 주는대로 성과급을 받았다면 요즘 젊은 직원들은 자신의 권리를 적극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이직이 심한 인터넷·게임·플랫폼 기업에서는 인재를 잃을까봐 성과금을 확실히 챙겨주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21-02-09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