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재계 순위 요동… 셀트리온·네이버 ‘약진’

코로나로 재계 순위 요동… 셀트리온·네이버 ‘약진’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1-02-10 16:24
업데이트 2021-02-11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셀트리온 유일하게 두자릿 수 올라 25위
‘비대면 특수’ 네이버·넷마블 30위대 껑충

코로나19와 인수합병(M&A)의 영향으로 국내 대기업들의 자산 순위가 크게 요동치고 있다.

10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64개 대기업집단 중 18개 그룹 순위는 1년 전과 같지만 46개 그룹의 순위가 지난해와 달라질 것으로 예상됐다.

삼성의 공정자산은 1년 새 15조 5690억원 늘어난 440조 4170억원으로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2위인 현대차그룹과 3위인 SK그룹은 자산 격차가 작년 9조 1798억원에서 올해 11조 6479억원으로 확대된다.

지난해 9위였던 현대중공업은 두산인프라코어 인수로 자산이 69조 6740억원으로 집계되며 지난해 8위였던 GS그룹과 자리를 바꾼다.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해 자산이 24조원 넘게 커진 한진(57조 5853억원)은 다시 재계 10위권(오너 있는 기업집단 기준)에 들어간다.

10위권 밖에서는 코로나19 사태가 부른 비대면 특수 기업들이 약진했다. 카카오는 지난해 23위에서 올해 22위로 올라선다. 네이버(41위→34위)와 넷마블(47위→38위)도 큰 폭의 순위 상승이 이뤄진다.

셀트리온은 자산 규모가 지난해 8조 8377억원에서 올해 13조 8642억원으로 5조원 이상 늘면서 순위가 45위에서 25위로 급등한다. 순위가 두자릿수 오르는 유일한 기업이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21-02-11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