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 매출, 국내 대표 기업의 2.2배
법인세 부담률은 국내 기업이 10%포인트 더 높아


갤럭시 S22 울트라. 삼성전자 제공.


국내 대표 기업과 글로벌 경쟁사 지난해 매출 비교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지난해 매출의 경우 글로벌 경쟁 기업이 한국 기업의 2.2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와 가전 분야에서 각각 글로벌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제외하면 매출은 3배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시장이 평가하는 기업의 가치도 차이가 커 지난해 말 기준 글로벌 경쟁사의 시가총액 규모는 한국 기업의 3.1배에 이르렀다. 지난해 평균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도 글로벌 경쟁사가 84억 달러로 국내 기업(58억 달러)보다 1.4배 컸다.


국내 대표 기업과 글로벌 경쟁 기업 지난해 법인세 부담률 비교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가장 극명한 차이는 휴대전화 사업 부문에서 드러났다. 지난해 애플은 삼성전자(지난해 사업보고서의 휴대폰 사업 부문 매출 비중 39.1% 적용)보다 매출이 4배 더 높았으나 법인세 부담률은 13.3%로 삼성전자(25.2%)의 절반 수준이었다.
반도체 부문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지난해 삼성전자(지난해 사업보고서의 반도체 사업 부문 매출 비중 33.7% 적용)와 인텔의 매출 규모는 비슷했으나, 법인세 부담률은 삼성전자가 25.2%로 인텔(8.5%)의 세 배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7대 수출 주력업종의 한국 대표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사들에 비해 매출·시총 규모가 2분의 1에서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반면 세 부담은 월등히 높았다”며 “우리 기업이 해외 시장에서 글로벌 기업과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법인세 부담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