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 ‘자음생 크림’ 중국 출시… 설화수 매출 50% 성장

아모레퍼시픽, ‘자음생 크림’ 중국 출시… 설화수 매출 50% 성장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2-08-23 17:32
업데이트 2022-08-24 0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아모레퍼시픽이 지난해 11월 중국국제수입박람회에서 운영한 홍보 전시관. 설화수와 라네즈 등 9개 브랜드의 600여개 제품을 선보이며 글로벌 혁신 연구개발 성과 등도 알렸다. 아모레퍼시픽 제공
아모레퍼시픽이 지난해 11월 중국국제수입박람회에서 운영한 홍보 전시관. 설화수와 라네즈 등 9개 브랜드의 600여개 제품을 선보이며 글로벌 혁신 연구개발 성과 등도 알렸다.
아모레퍼시픽 제공
아모레퍼시픽은 ‘사람을 아름답게, 세상을 아름답게’라는 소명을 바탕으로, 1964년 국내산 화장품으로는 처음으로 해외 수출을 달성한 후 1990년대 초부터 글로벌 브랜드 전략을 본격화했다. 현재 중국과 프랑스에 공장을 설립해 현지 생산 기반을 마련했고,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확장 및 성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해 코로나19 여파에도 글로벌 시장에서 선전했다. 특히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는 브랜드와 채널을 다변화하며 눈에 띄는 매출 성장세를 나타냈다. 중국 시장에서도 소비자 대상 매출이 늘어나는 등 고무적인 성과를 올렸다.

중국에서는 설화수 ‘자음생 크림’의 출시를 바탕으로 전체 설화수 매출이 약 50% 성장했다. 라네즈도 기능성 스킨케어 카테고리를 강화하고 디지털 채널 대응을 강화하며 두 자릿수의 매출 성장세를 일궈 냈다.

아세안 지역에서는 설화수 자음생 라인의 매출 호조로 태국과 인도네시아에서 설화수의 성장세가 돋보였다. 아세안 전 지역에서 온라인 채널이 견고하게 성장하는 성과도 이뤄 냈다. 북미에서는 온·오프라인 판매 채널이 확장되며 12%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라네즈가 새로운 채널인 ‘세포라 앳 콜스’에 입점해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설화수도 신규 이커머스 플랫폼에 진출하며 채널을 다변화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는 지난해 11월 5일부터 10일까지 상하이 국가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4회 중국 국제수입박람회(CIIE)에 참가하며 현지와의 교류를 강화했다. 2018년부터 4년 연속 참가한 아모레퍼시픽은 설화수, 라네즈, 려 등 9개 브랜드의 600여개 제품을 선보이고 지속가능한 경영전략과 글로벌 혁신 연구개발(R&D) 성과를 알렸다.

찰스 카오 아모레퍼시픽 중국법인장은 “중국은 개방적이고 에너지가 넘치는 시장으로 글로벌 산업 발전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중국 시장과의 동반 성장을 추구하고 소비자들을 위해 아름다움의 가치를 창출하고자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국 기자
2022-08-24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