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CMA, 21일까지 독과점 완화 시정조치안 제출 요청
영국 기업결합심사 통과시 주요국 합병 승인도 가속
대한항공 “시정안 곧 제출...심사 성실히 임할 계획”


대한항공 보잉 787-9. 대한항공 제공
앞서 영국 경쟁시장청(CMA)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합병이 런던과 서울을 오가는 승객들에게 더 높은 가격과 더 낮은 서비스 품질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며 “대한항공은 이달 21일까지 시장 경쟁성 제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시정조치안을 제출하라”고 요청했다.
CMA는 오는 28일까지 시정조치안을 검토한 후 대한항공의 제안을 수용해 허가로 종결하거나 아니면 세밀하게 들여다보는 심화심사(2단계 조사)에 들어갈지를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대한항공은 “영국 경쟁당국과 세부적인 시정조치 관련 협의를 진행 중으로, 이른 시일에 시정조치안을 확정해 제출할 예정”이라며 “심사를 조속히 종결할 수 있도록 향후 심사 과정에도 성실히 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심사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CMA는 1차 조사에서 양사의 합병으로 런던~서울 항공편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 14만 3676명의 승객이 런던에서 서울로 이동했고, 향후 수년 내 비슷한 수준의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에는 코로나 여파로 4만 4021명이 런던에서 한국으로 입국했다.
이와함께 CMA는 항공 화물 공급에서도 독과점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영국과 한국 간 직항화물 서비스 주요 공급자로, 합병 후에는 충분한 시장 경쟁성이 확보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CMA는 합병 이후 한국으로 제품을 운송하거나 한국에서 제품을 운송하는 영국 기업들이 더 높은 운송 비용을 지불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CMA는 여객과 화물 운송 이용자가 합병 이후에도 대체 항공사를 이용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영국을 비롯해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에서 기업결합심사를 받고 있다. 미국 법무부는 이르면 이달 내 기업결합 승인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