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자동차 글로벌 3강 전략’
2030년까지 SW기업 300개 육성
반도체 개발… 세계 점유율 2배로

서울신문 DB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9월 28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자동차 산업전략 원탁회의’에서 공영운 현대차 사장, 로베르토 램펠 한국GM 사장, 스테판 드블레즈 르노코리아 사장, 조성환 현대모비스 사장 등 완성차, 부품 기업, 모빌리티·서비스, 유관기관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자동차산업 미래 전략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대한 대미 협상 결과 공유 등 자동차산업 글로벌 3강 전략과 대책에 대해 논의했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9월 완성차·부품업계 등이 참여하는 ‘자동차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열고 자동차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 및 공급망 안정화 방안을 담은 ‘자동차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생산라인에서 현대차의 첫 번째 전용 플랫폼 전기차 ‘아이오닉5’가 생산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 제공
산업부는 2026년까지 운영체제(OS), 무선업데이트(OTA) 등 차량용 주요 소프트웨어를 국산화하고, 올해 224억원을 투입한 미래차 인력 양성 사업을 확대 개편해 2030년까지 소프트웨어 융합인력 1만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또 차량용 소프트웨어 인증 지원센터를 구축해 2030년까지 관련 전문기업 300개를 집중 육성한다.
극심한 공급난을 보이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의 경우 최신 기술 선점, 공급망 내재화, 생태계 조성, 기업 지원 등 4대 전략을 통해 프로세서, 센서, 전력반도체 등 16대 핵심 품목을 집중 개발한다. 이를 통해 세계시장 점유율을 2021년 3.3%에서 2030년 6.6%로 두 배 확대할 계획이다.
각국의 보호주의 기조에 적극 대응해 공급망 안정화도 꾀한다.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 개편으로 인한 한국 자동차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미 협상을 지속하고 IRA 법안 요건에 맞는 배터리의 조기 확보에 나선다. 독일과 일본 수입 의존도가 높은 전기·수소차의 부품 기술 자립화에도 속도를 낸다. 전기·수소차 소재 국산화율을 현재 70%에서 2025년 90% 이상 높인다.
산업부 관계자는 29일 “자동차 생태계 다양성을 강화해 우리 기업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에 정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2022-11-3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