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생산지수 2년 전 수준 후퇴
소비·투자 둔화… “내년 침체국면”


통계청
통계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10월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기준)는 110.5(2015년=100)로 9월보다 3.6%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5월 -7.5% 이후 최대 감소폭이며, 같은 해 11월 109.6 이후 최저치다. 생산지수는 지난 7월 전월 대비 1.4% 줄며 감소세로 전환한 후 10월까지 네 달 연속 감소했다.
제조업 둔화 양상은 소비와 투자 쪽으로 전이되는 모습이다. 전체 가구주 근로소득 가운데 제조업 종사 가구주의 근로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은 29.6%로 가장 높은 만큼 제조업 생산 감소는 근로소득 인상의 제약과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소비 동향을 보여 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 대비 9월(-1.9%)과 10월(-0.2%)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9월 2.2% 감소했다가 10월 보합(0.0%)을 기록했다.
향후 전망도 밝지 않다. 11월 전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6.5로 10월보다 2.3포인트 줄며 두 달 연속 감소했다. 향후 국내 설비투자의 동향을 예고하는 국내기계수주는 9월(-25.8%)과 10월(-13.5%)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올해 3분기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경제성장률을 떠받친 소비와 투자가 10월부터 둔화되는 모습을 보임에 따라 4분기 또는 내년 1분기 역성장은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4일 보고서에서 “4분기 현재 한국 경제는 수출 경기가 침체되고 내수 활력이 크게 약화되는 국면에 있다”며 “내년에는 경기 하강 속도가 빨라지면서 본격적인 침체 국면에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미 한국은행 집계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3%로 1분기(0.6%)와 2분기(0.7%)에 비해 낮아졌다. 3분기 순수출이 성장률을 1.8% 포인트 끌어내렸고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각각 0.8% 포인트, 0.7% 포인트 높인 것으로 분석됐다.
2022-12-0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