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갤럭시 전용 ‘AP 개발’ 전담팀 신설

삼성전자, 갤럭시 전용 ‘AP 개발’ 전담팀 신설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2-12-15 21:50
수정 2022-12-20 09: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마트폰 두뇌 역할하는 핵심 부품
MX산업부 개발실장 최원준 내정

삼성전자가 갤럭시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개발하는 전담 조직을 만들었다. AP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에 해당하는 반도체로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이다.

15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MX(모바일경험) 사업부는 지난 9일 조직 개편을 통해 AP솔루션개발팀을 신설했다. 이 팀은 AP의 관련 선행 기술을 개발하고 성능 분석과 상용화 등도 담당한다. 이번 정기 인사에서 MX사업부 개발실장에 내정된 최원준 부사장이 팀장을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 부사장은 단말과 칩세트 개발 전문가로 ‘스냅드래곤’을 만드는 세계 1위 AP 업체 퀄컴에서도 근무한 적이 있다.

갤럭시 전용 AP는 곧 출시될 갤럭시S23에도 들어가는 퀄컴의 스냅드래곤과 달리 애플과 구글이 직접 개발해 자사 제품에만 적용하는 ‘바이오닉’, ‘텐서’ 시리즈처럼 갤럭시에만 들어가는 칩셋을 말한다. AP솔루션개발팀이 개발할 갤럭시 전용 AP는 2025년에 출시되는 제품부터 탑재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역대 갤럭시 제품에 그동안 자사 AP인 ‘엑시노스’와 스냅드래곤을 병행해 왔지만, 엑시노스는 항상 성능에 관해 지적을 받아 왔다. 지난 2월 갤럭시S22 출시 직후엔 게임 실행 시 다른 기능을 강제로 제한하는 ‘게임옵티마이징서비스’(GOS) 사태를 빚었고, 이로 인해 전용 AP의 필요성이 부각됐다.

앞서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은 지난 8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삼성 갤럭시 언팩 2022’ 행사에서 “관련 팀들과 파트너사들이 열심히 (자체 AP 개발과 관련해)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삼성전자는 내년 2월 초 출시 예정인 갤럭시S23에는 퀄컴의 차세대 제품인 스냅드래곤8 2세대를 탑재할 것으로 알려졌다.

2022-12-1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