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 제공
국내 협동로봇 시장 점유율 1위인 두산로보틱스의 협동로봇 제조 라인.
두산 제공
두산 제공
두산그룹은 올해 창립 129주년을 맞아 소형모듈원전(SMR)부터 수소, 로봇, 인공지능(AI)까지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 차세대 에너지와 첨단 미래 기술을 적용한 기계·자동차, 반도체와 첨단 소재에 집중하며 200년 기업을 준비하고 있다.
우선 두산에너빌리티와 두산퓨얼셀은 무탄소 에너지 핵심 기술을 지속 개발하며 사업화 속도를 높이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청정 전기 생산을 위한 대형원전, SMR, 수소 터빈, 해상 풍력 등의 경쟁력을 높이며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SMR 시장에선 글로벌 SMR 파운드리(생산전문기업)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또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개발에 성공한 두산에너빌리티는 수소 가스터빈 개발로도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전 세계 전력의 약 23%를 생산하는 가스발전소 연료를 수소로 전환하면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소 혼소 및 수소 전소 터빈용 연소기를 개발 중인 두산에너빌리티는 2027년까지 세계 최초 400㎿급 초대형 수소 전소 터빈을 개발할 예정이다.
두산은 기계·자동화 분야와 반도체·신소재 사업 분야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며 성장하고 있다. 두산의 산업기계 영역을 담당하는 두산밥캣은 업계를 선도하는 기술로 건설기계 분야 스마트·친환경 흐름에 앞장서고 있다. 두산밥캣은 2022년 세계 최초의 완전 전동식 ‘콤팩트 트랙 로더’(궤도식 소형 적재기) T7X를 선보였다.
두산로보틱스는 독자적인 토크 센서(비틀림 감지) 기술을 기반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제공하는 협동로봇을 만들고 있다. 2018년부터 줄곧 국내 협동로봇 시장 점유율 1위를 지켜 왔다.
두산은 사업 전 영역에 AI를 접목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기술 발전의 속도로 볼 때 향후 기업 활동의 모든 분야에서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성패를 가를 것”이라며 “두산 고유의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가능한 역량을 모두 모아야 한다”고 했다.
2025-07-18 4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