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경제정책 그 후] 경기 회복 없이 증시 시간만 연장… 되레 숨어버린 돈

[2016 경제정책 그 후] 경기 회복 없이 증시 시간만 연장… 되레 숨어버린 돈

최선을 기자
입력 2016-12-21 22:38
업데이트 2016-12-22 0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주식 거래 시간 연장

4개월간 거래대금 5.2% 줄어… 시장 키우는 ‘유동성 효과’ 없어

올해 한국거래소는 침체된 증시에 활력를 불어넣겠다며 16년 만에 주식 거래 시간을 연장했다. 하지만 거래 시간 연장 이후 주식시장에서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오히려 뒷걸음질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회복 없이 단순한 거래 시간 연장만으로는 유동성 증가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주식 거래 시간이 30분 연장된 지난 8월 1일부터 지난달까지 4개월 동안 유가증권시장(코스피)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4조 4655억원으로 올해 1~7월의 4조 7102억원보다 오히려 5.2% 줄었다. 코스닥 시장도 같은 기간 하루 평균 거래대금이 3조 2563억원으로 올해 1~7월의 3조 5328억원보다 7.8%나 감소했다. 거래 시간 연장으로 인한 ‘유동성 효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거래소는 지난 8월부터 주식 정규거래 마감 시간을 오후 3시에서 3시 30분으로 30분 늘렸다. 중국 등 아시아 증시와 겹치는 시간을 늘려 투자자 편의를 높이고 국내 증시의 거래 규모를 키우겠다는 취지였다. 거래소는 증시 유동성이 3~8% 증가하면서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2600억원에서 68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거래소의 장밋빛 전망은 빗나갔다. 거래 시간 연장 이후 거래대금은 물론이고 거래량도 이전보다 줄었다. 8월부터 11월까지 코스피 하루 평균 거래량은 3억 6325만주로 올해 1~7월 3억 9912만주보다 9.0%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스닥은 같은 기간 7억 2539만주에서 6억 4406만주로 11.2%나 줄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실적은 더 초라하다. 지난해 8월부터 11월까지 코스피 하루 평균 거래량은 4억 9436만주, 평균 거래대금은 5조 1927억원이었다. 거래 시간 30분 연장 후 거래량은 26.5%, 거래대금은 14.0%나 감소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거래 시간 연장이 증시 활성화로 이어지기 위해선 경기 회복과 상장기업 실적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국내 증시에서는 고빈도 매매(짧은 시간 가격차를 이용해 수익을 내는 기법)가 많지 않기 때문에 거래 시간 확대가 거래량 증대로 기계적으로 연결되기 힘든 구조”라면서 “결국 경기 회복세가 나타나야 주가가 올라가면서 시장이 활기를 찾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6-12-22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