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 수출 4년 연속 감소… 갈 길 먼 수출다변화 정책

중남미 수출 4년 연속 감소… 갈 길 먼 수출다변화 정책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7-03-19 22:24
업데이트 2017-03-19 23: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도체 등 수출품목 집중도 높아… 신흥국 수출액·비중 급감 추세

정부가 우리 수출의 40%를 차지하는 ‘주요 2개국’(G2) 수출 일변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과 중남미, 중동 등 신흥국으로 수출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성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년간 신흥국 수출은 되레 감소하거나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리의 대(對)중남미 수출액은 4년 연속 하락했다. 브라질과 멕시코, 칠레 등 중남미 지역의 2013년 수출액은 363억 달러로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2014년에는 -1.2%, 2015년 -14.5%, 지난해(254억 달러)는 -17.1%로 감소폭이 확대됐다. 그 결과 우리 수출의 중남미 비중도 2013년 전체의 6.5%에서 지난해는 5.1%로 떨어졌다.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중동의 경우 2014년 수출액이 348억 달러로 전년보다 7.7% 늘었지만 2015년에는 마이너스(-12.6%)로 전환됐다. 지난해(262억 달러)는 -13.8%로 하락 폭이 더욱 커졌다. 우리 수출 비중의 15%를 차지하는 아세안 역시 하락세를 보였다. 아세안 수출액은 2015년 -11.5%, 지난해 -0.4%로 감소폭이 크게 줄었지만 아세안 수출의 44%를 차지하는 베트남을 제외하면 2015년 수출액은 전년 대비 -24.4%, 지난해는 -11.0% 하락했다. 브릭스(중국·인도·브라질·러시아)도 2014년부터 3년째 수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우리의 대아프리카 수출 비중도 2013년 2.0%에서 지난해 1.8%로 소폭 떨어졌다.

그럼에도 정부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중동과 중남미 등 신흥국 중심의 맞춤형 산업 진출을 성과로 내놨다. 아세안경제공동체(AEC) 출범 등을 통해 유망 소비재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케냐와 우간다, 에티오피아 등 아프리카 3개국을 ‘블루오션’이라며 경제사절단을 파견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자원 의존도가 높은 신흥국들이 유가 하락과 미국의 금리 인상 등으로 경기 침체가 진행된 것도 있지만 우리 경제구조에도 원인이 있다고 진단했다.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장은 “신흥국 소비자들이 꼭 사야 할 한국 제품이 이제는 별로 없다”며 “반도체와 자동차, 선박 등에 대한 수출 집중도가 20년째 같을 정도로 경제의 역동성도 떨어진다”고 말했다. 이어 “고부가가치 제품을 현지 수요자 중심으로 수출하고 서비스 수출을 늘리기 위해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의 국회 통과 등 제도의 신속한 정비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승관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장은 “신흥국과의 FTA 확대와 신흥시장에 진출하려는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무역보험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7-03-20 1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