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초미세먼지 노출 비율 한국 OECD 회원국 중 최악

㎥당 초미세먼지 노출 비율 한국 OECD 회원국 중 최악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17-06-26 22:14
업데이트 2017-06-26 2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OECD 발간 ‘녹색성장지표’

환경오염 따른 경제 손실 규모
46개국 중 터키·인도 이어 3위


한국이 ㎥당 초미세먼지에 노출된 인구가 인도와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브릭스 국가를 제외하고 이른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는 가장 높아 꼴찌를 기록했다. 또 환경오염으로 인한 경제 손실 규모도 조사 대상 46개국 중 세 번째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25일(현지시간) OECD가 발간한 ‘녹색성장지표 2017’에 따르면 한국은 ㎥당 야외에서 초미세먼지에 노출된 인구 비율이 32.0명을 기록했다. 이는 세계 평균 35.8명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지만 OECD 회원국 중에서는 꼴찌다. 사우디아라비아(62.7명), 인도(57.3명), 중국(48.7명)과는 비교할 수 없지만 다른 OECD 회원국과는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OECD는 보고서에서 공기오염은 세계적으로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소라고 지적하면서 초미세먼지에 대한 노출 증가는 1990년 이후 계속된 노력에도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OECD는 회원국 33%가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정한 공기오염 가이드라인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보고서는 또 한국이 환경오염에 따른 국내총생산(GDP) 손실 규모가 46개 조사 대상국 중 터키와 인도에 이어 세 번째라고 밝혔다. 손실 규모 지표는 1900년 이후 20여년간 경제성장에서 온실가스 배출과 대기오염을 중심으로 한 환경오염 효과를 반영해 경제성장률을 재조정한 것이다. 오염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나라는 플러스(+), 늘어난 나라는 마이너스(-)로 나타난다.

즉 한국 등은 환경의 질을 희생하면서 경제성장을 이뤘다는 해석을 할 수 있다. 가장 ‘클린 성장’을 이룬 나라는 독일로 성장률 조정치는 32%였다. 반면 터키는 -1.11%로 오염에 다른 GDP 손실 규모가 가장 컸다. 이어 인도(-0.97%), 한국(-0.89%), 사우디아라비아(-0.86%), 중국(-0.74%) 등의 순이었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7-06-27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