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여파 ‘워킹맘 취업’ 5.5% 감소…40%는 월 200만원 못 벌어

코로나 여파 ‘워킹맘 취업’ 5.5% 감소…40%는 월 200만원 못 벌어

류찬희 기자
입력 2020-12-04 12:55
업데이트 2020-12-04 13: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녀 어리고 많을수록 고용률↓

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워킹맘’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5.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자녀특성별 여성의 고용지표’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취업 여성은 267만 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 6000명 줄어들었다. 2016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래 감소폭이 가장 컸다.

워킹맘의 고용률은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자녀 수가 많을수록 낮아 육아가 결혼 여성 취업의 가장 큰 걸림돌로 나타났다. 막내 기준으로 6세 이하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의 고용률은 47.5%에 그쳤다. 7∼12세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의 고용률은 58.5%, 13∼17세 자녀와 사는 경우 65.3%였다. 자녀 수가 1명이면 고용률이 57.1%였지만, 2명이면 54.8%, 3명 이상은 51.0%로 나타났다.

자녀가 어릴수록 근무 시간도 짧았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 여성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2.4시간으로 1년 전보다 4.2시간 줄어들었다. 6세 이하 어린 막내 자녀를 둔 여성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이 29.9시간으로 가장 적었다. 7∼12세 막내 자녀가 있는 경우 33.3시간, 13∼17세의 경우 34.6시간이었다.

워킹맘의 40%가량은 월 200만 원을 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만 원 미만을 버는 비율이 8.4%(18만 2000명), 100만~200만 원을 버는 비율이 30.9%(66만 9000명)였다. 200만~300만 원은 68만 3000명(31.5%), 300만~400만 원을 버는 워킹맘은 32만 3000명(14.9%), 400만 원 이상을 버는 워킹맘은 31만 2000명(14.4%)였다.

임금근로자는 전년 대비 12만 명 줄어든 217만 명이었고, 이 중 임시·일용직이 50만 7000명으로 1년 전보다 13만 4000명이 급감했다. 자영업자 등 비임금 워킹맘은 50만 2000명으로 작년보다 3만 6000명 감소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만혼 현상으로 기혼 여성 자체가 줄어 기본적으로 취업자가 줄어든 데다가, 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대면 서비스업 중심으로 취업자가 감소한 것이 많이 반영된 결과”라고 밝혔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