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기업 반기순익 사상최대…40조 넘어

상장기업 반기순익 사상최대…40조 넘어

입력 2010-08-17 00:00
수정 2010-08-17 14: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출 호조,설비투자 확대,민간소비 증가 등에 힘입어 상장기업의 외형과 이익이 동시에 확대됐다.특히 순이익이 배가 넘게 늘어나는 등 상장기업이 뛰어난 수익성을 보여줬다.

 17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반기 보고서 제출 대상 12월 결산 상장사 639개사 중 비교 가능한 565개 업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상반기 영업실적’에 따르면 유가증권 상장사들의 전체 매출액은 392조5천205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5.11% 늘었다.

 영업이익은 33조1천174억원으로 79.66% 늘었고,순이익은 30조9천374억원으로 무려 124.22% 급증했다.

 이는 반도체,LCD 등 IT 제품과 자동차 등의 수출호조,이에 따른 설비투자 증가로 전기전자,운수창고,기계업종이 흑자로 전환하는 등 대부분 업종의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난데다 환율 효과가 더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들 12월 결산법인들의 상반기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8.44%로 작년 상반기보다 3.03%포인트 확대됐다.이는 매출액 1천원당 84원가량이 남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매출액 순이익률 역시 7.88%를 기록,작년 동기의 4.05%에 비해 3.83%포인트 증가했다.

 이번 집계에서는 삼성전자,삼성전기,삼성테크윈 등 삼성계열사와 LG,LG전자 등 LG계열사 등의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 적용 법인 32개사는 빠졌다.만약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는 법인까지 포함하면 사상 최대 실적이라는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상반기 8조2천707억원의 순익을 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여기에 삼성전기(3천35억원),LG디스플레이(1조2천40억원),LG전자(1조5천310억원),LG화학(1조1천634억원) 등만 넣어도 상장사들의 상반기 순이익이 40조원을 훌쩍 웃돈다.

 증권업계는 올해 상장사들의 연간 순익이 100조원 안팎으로 사상 최대치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제조업체의 전체 매출액은 작년 상반기와 비교해 17.89%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74.43%,순이익은 128.26% 늘어 제조업체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경기가 호황이던 2008년 상반기의 7.97%에 근접하는 7.68%를 기록했다.

 이들 제조업체의 상반기말 부채비율은 102.52%로 작년 말 대비 3.80%포인트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전지전자,운수창고,기계,의료정밀이 흑자전환했고,철강금속과 종이목재가 세자릿수 대의 순이익 증가를 나타냈다.

 금융업체는 1분기에 사상 최대 실적 달성 이후 2분기에 부실기업 구조조정 추진 등으로 대손충당금 규모가 증가했음에도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116.63%,102.77% 증가했다.

 분석 대상 565개사 가운데 492개사(87.08%)가 상반기에 순이익 흑자를 실현한 반면 73개사는 적자를 보였다.

 작년 동기 대비 84개사가 흑자전환해 흑자기업 비중이 75.39%에서 87.08%로 늘었고 적자기업 비중은 24.6%에서 12.92%로 줄어 10개사 가운데 9개 정도가 흑자,1개 정도만이 적자를 낸 것으로 분석됐다.

 2분기만 놓고 봐도 작년 2분기 대비 상장기업의 매출액이 17.32%,영업이익이 46.53%,순이익이 20.68%로 두자릿수 증가를 기록,1분기에 비해 증가율은 둔화됐지만 절대 규모는 늘려갔다.

 2분기에 금융업체의 실적이 작년 대비 모두 줄었지만,제조업체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순이익 증가가 계속된 영향이다.

 분석 대상 가운데 개별기업으로는 포스코가 작년 상반기 대비 248.78% 늘어난 2조6천335억원으로 상반기 순이익 1위에 오른 반면 한국전력은 작년에 이어 적자를 지속해 상반기 8천970억원의 적자로 순이익 하위사 1위를 기록했다.

 12월 결산 코스닥시장 811개 상장기업의 상반기 전체 매출액은 40조486억원으로 작년 상반기 대비 18.48%,영업이익 2조3천839억원과 순이익 1조5천188억원도 각각 12.70%,4.74% 증가했다.

 반도체업종의 매출증가와 수익성 개선으로 IT업종,완성차 업체의 사상 최대 호황으로 운송장비 업종의 순이익이 각각 1만9천584%,344.61% 급증했다.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서울시의회 김혜영 의원(국민의힘, 광진4)이 대표발의한 ‘서울시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달 27일 서울시의회 제331회 정례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개정은 디지털 환경 변화에 적응이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체계적인 디지털 기술 교육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적 근거를 신설한 것으로, 실질적인 자생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서울시 소상공인 정책의 무게중심을 옮긴 입법 성과다. 개정된 조례에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기술 역량강화 교육’을 서울시가 실시할 수 있는 경영 및 창업지원 사업의 하나로 명시(제8조 제7호의3)해, 관련 교육사업을 지속적이고 구조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을 갖췄다. 김 의원은 “디지털 기술이 일상화된 현재에도 키오스크 사용이나 온라인 판매조차 어려워하는 소상공인들이 여전히 많다”며 “단순한 재정지원만으로는 변화에 대응할 수 없으며,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진정한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소상공인진흥공단의 실태조사 결과에(2021년 기준)에 따르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소상공인의 비율은 전체의 15.4%에 불과하며, 특히 제조업(7.6%), 숙박·음식점업(7.6%), 수리
thumbnail -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