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농촌이 일손 구하기에 비상이 걸렸다. 그나마 구하기 힘든 일손이 정부가 추진하는 희망근로와 공공근로사업, 숲가꾸기 사업에 참여하는 바람에 농가만 속을 태우고 있다.
이미지 확대
남광호 농협 경주환경농업교육원 교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남광호 농협 경주환경농업교육원 교수
사정이 이렇다 보니 농가에서는 인력확보를 위해 한두 시간 이상 떨어진 곳에까지 가서 70~80세의 고령자 모셔오기 경쟁을 하게 되고, 인건비를 지난해보다 15% 이상이나 오른 액수로 올려주면서 일손 확보를 위해 출혈 경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불법적으로 인력공급을 하고 수수료를 챙기는 악덕 인력업체도 생겨나고 있다.
농촌이 고향인 우리 모두의 문제가 아닌가 여기면서 그 대안을 제시해 본다.
첫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농번기(4~6월)와 수확기(9~11월)에는 가급적 사회적 취약계층 및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실시하는 희망근로 및 공공근로 사업을 중단하고, 농촌일손돕기 추진단 또는 농촌일손 지원창구를 운영해 농촌일손 확보·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둘째, 대학에 농촌지원센터를 두고 각 지자체의 농촌일손 지원창구와 연계하여 농과대를 중심으로 대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일손돕기를 하면 좋을 듯하다. 1년 중 가장 바쁜 시기인 농번기야말로 단 한 사람의 손길도 아쉬운 만큼 말 그대로의 ‘농활’이 필요하다. 소요되는 예산은 정부와 지차체가 일정부분을 보조하면 농가는 최소한의 부담으로 인력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외국인 근로자 확보가 또 하나의 대안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내국인이 힘들어하고 기피하는 일자리에는 외국인 근로자가 대안이 될 수 있는 만큼 외국인력을 추가 확보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농촌은 고령화와 여성화가 갈수록 심화하여 해마다 농촌일손을 구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안전한 먹거리의 산실인 농촌을 보존하고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상생의 모델을 찾을 수 있는 지혜를 우리 모두 모아야겠다.
2010-06-0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