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談餘談] 존경하나 의심되는…/홍희경 사회부 기자

[女談餘談] 존경하나 의심되는…/홍희경 사회부 기자

입력 2010-10-02 00:00
업데이트 2010-10-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두 해 위인 대학 선배의 비웃음 속에 날아가 버린 내 첫 번째 사업 구상은 여론조사에 관한 것이었다. 전화나 설문지로 하던 조사를 인터넷 기반으로 바꿔서 설문에 응하면 답례로 쇼핑몰 포인트를 주자고 했다. 선배는 “그렇다고 설문에 응하겠냐.”고 일축했다.

이미지 확대
홍희경 경제부 기자
홍희경 경제부 기자
그런데 폭풍 같은 속도로 인터넷이 보급된 뒤 심지어 포인트를 안 줘도 설문에 응하는 사람들이 생겼다. ‘월드컵 중계를 보면서 먹고 싶은 메뉴는?’이라거나, ‘기사가치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꽤 복잡한 설문지도 가끔 이메일로 배달된다. 이런 와중에 정작 트렌드 설문조사를 초창기에 주도하던 업체는 몇 달 전 ‘절필’을 선언했다. 여론조사가 흔해지면서 최소한 갖춰야 할 객관적인 방법론이 무시되고, 조사에 응하는 사람 대신 실시하는 사람의 의도에 짜맞춘 주문제작형(OEM) 조사가 늘었다는 게 이유였다.

아닌 게 아니라 여론조사가 대중화되면서 다소 엉뚱한 이들이 조사 대상이 되거나, 최소한의 과학적 기준을 충족하지 않은 조사도 발표되곤 한다. 예컨대 몇 년 전 배심재판이 도입될 때 사법부는 시민들을 상대로 여러 차례 “배심재판에 참여할 것인지”를 물었다. 하지만 정작 배심재판을 받을지 선택권을 지닌 수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는 없었다. 생각난 김에 수용자 대상 여론조사 취재를 시도했더니, 지역별·혐의별로 시민조사 때와는 온도차가 느껴지는 결과가 나왔다.

지난 1월에 결과가 나온 교원평가제 도입 여론조사에는 16개 시·도별로 학부모와 교원 150~250명씩이 전화 설문조사에 응했다. 응답자 규모가 결론을 일반화시키기에 충분했는지에 대한 고려 없이 이 조사에서 나온 “학부모 86.4%가 교원평가제 도입에 호의적”이라는 결론은 교과부가 입법과정 없이 교원평가제 도입을 강행하는 근거가 됐다.

정치권에서 당 대표를 뽑는 당원들의 잔치인 전당대회를 열 때에도 국민 여론조사 결과를 반영하고, 장관 임명동의안을 처리할 때도 여론조사 결과를 참고하는 시대다. 하루에도 몇 개씩 명확하게 떨어지는 여론조사 결과를 들으면서도 왠지 찜찜한 기분이 드는 것은 어느덧 ‘여론조사를 존경하나 의심하는 단계’에 진입했기 때문은 아닌지 궁금하다.

saloo@seoul.co.kr
2010-10-02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