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어느 발레리나의 몸/조혜정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영화평론가

[문화마당] 어느 발레리나의 몸/조혜정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영화평론가

입력 2010-11-11 00:00
업데이트 2010-11-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월의 마지막 토요일. 모처럼 완연한 가을을 만끽하며 예술의전당에 가서 발레공연을 보았다. 발레의 제목은 유니버설 발레단의 ‘라 바야데르’(La Bayadere). 인도 힌두사원 무희와 전사의 비극적 러브스토리를 3막으로 구성한 발레극이다. ‘라 바야데르’는 드라마틱한 스토리와 화려한 발레동작, 풍부하고 웅장한 무대와 서정적인 음악으로 시청각적 쾌락을 제공하기에 충분했다.
이미지 확대
조혜정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영화평론가
조혜정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영화평론가


그런데 정작 필자를 감동시킨 것은 한 발레리나의 복근이었다. 보통 고전적인 발레의상 튀튀(Tutu)의 경우 허리를 직접 드러내지 않지만, 인도 무희의 의상은 상의와 하의가 분리되어 배와 허리가 노출되는 형태여서 자연히 발레리나의 복부가 드러났다. 발레리나의 몸의 선, 특히 복부와 허리의 선은 유연하고 부드러운 것으로만 여겨오던 필자에게 조각칼로 새긴 듯 군더더기 하나 없이 가파르고 선명한 복근은 낯설었다. 특히 갈비뼈가 두드러져 보일 정도로 마른 그의 몸은 보기에 애처로울 정도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는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아름답고 역동적인 춤동작은 무대를 가득 채웠다.

요즘 얼짱·몸짱이 대세이고, 다이어트는 거의 필수 생활양식으로 자리 잡은 느낌마저 들 만큼 그 기세가 대단하다. 그래서 여성은 S라인, 남성은 초콜릿 복근이 기어코 도달해야 할 필수코스라도 된 듯 온통 그에 몰입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인터넷에는 다이어트에 대한 정보가 넘쳐나며, 몸 관리는 그 사람의 능력과 연계되고, ‘꿀복근’ ‘꿀벅지’ ‘꽃남’ 등 몸과 관련된 표현이 생활용어가 되다시피 하며, 미디어는 멋진 몸매를 전시하고 확산시키기에 바쁘다. 좀 과장하자면 모두가 미모에 목숨이라도 걸 태세다.

그러나 발레리나의 몸은 미모의 한 방편으로서가 아니라 그야말로 생존의 한 방식이라고 느껴질 만큼 절실한 데가 있었다. 무대에서 발끝으로 서고 도약하고 날기 위해서 부단히 자신의 몸을 혹사시킬 만큼 단련해 온 흔적이 그것이었다. 좀 더 아름답고 빛나는 발레동작을 해내기 위해 그는 먹고 싶고 쉬고 싶은 유혹을 떨쳐내고, 신체의 아픔마저 일상으로 껴안아야 했을 터다.

언젠가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의 세계적 발레리나 강수진의 발 사진을 본 적이 있는데, 피멍이 들고 발톱은 몇 차례나 빠진 듯 뒤틀어지고, 거듭된 상처로 옹이가 박힌 ‘볼품없는’ 발이었다. 강수진의 우아하고 화려한 이미지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았던 그 볼품없는 발은 충격인 동시에 감동이었다.

“발레를 하면 거의 매일 아프기 때문에 통증을 친구로 여기게 되었다.”던 강수진. 하루에 19시간씩, 1년에 1000여 켤레의 토슈즈가 닳도록 춤을 추었다는 그의 고통과 인내의 시간이 그 볼품없는 발에 오롯이 새겨져 있었다. 강수진의 발레는 보는 이를 황홀하게 하지만, 그의 볼품없는 발은 뭉클함으로 가슴을 뻐근하게 한다.

백조의 아름답고 우아한 자태는 수면 아래에서 헤엄치기 위해 부단히 발을 움직인 결과라고 한다. 진주는 몸속에 모래알 따위의 이물질이 들어간 조개가 고통을 참으며 만들어낸 물질이다. 영광과 성취는 화려해서 쉽게 눈이 가지만, 그 이면에 새겨진 상처와 고단함에 대해서는 간과하거나 놓치기 일쑤다. 그러나 영광과 성취는 고통과 인내를 통해서 획득할 수 있고, 그래서 영광의 상처가 더 갚진 것임을 또한 우리는 안다.

그러고 보면 몸은 기실 그 사람이 지나온 시간과 삶의 태도를 말해주는 것 같다. 필자의 외할머니는 살아 생전 시장에서 좌판을 벌여 야채를 파셨다. 외할머니의 손은 나무 등걸처럼 딱딱하고 거칠었지만, 그 손은 자식들을 먹이고 입힌 손이고, 요령을 부리지 않은 정직한 손이었다. 그래서 아름다운 손이었다. 그 손으로 종종 손녀의 등을 긁어주시곤 했는데, 그 투박하지만 따뜻한 감촉이 아직도 선연하다.

몸은 누군가의 삶을 드러내주는 기표이자, 삶의 역정이 새겨지는 공간이다. 무엇을 새길 것인가, 그것은 각자의 몫이다.
2010-11-11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