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소개팅 풍경이다. 여성은 열심히 대화를 하지만 남성은 탁자 아래로 ‘문자질’을 하느라 바쁘다. 여성이 바쁘냐고 물으면 남성은 이야기 계속하라고 입으로는 말하면서 손으로는 여전히 휴대전화 액정화면을 만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윤창수 경제부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윤창수 경제부 기자
어느 부부의 잠자리 풍경이다. 부부는 등을 돌리고 침대에 누워 각자의 휴대전화로 뭔가를 한다. 트위터의 팔로어들이 남긴 새 멘션을 읽거나 아니면 이제 잠자리에 들었다고 팔로어들에게 보고를 날린다. 배우자에게 잘 자라는 말은 안 해도 트위터 팔로어들에게는 오늘 저녁으로 뭘 먹었고, 몇 시에 자는지 착실히 알린다.
가족의 식탁 풍경도 마찬가지다. 남편은 DMB로 스포츠 중계나 개그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아이들은 휴대전화 게임에 열중해 있다. 세살짜리 아기도 “이거(휴대전화 게임) 하는 동안 엄마가 떠먹여 줘.”라고 말하는 세상이다.
전화와 컴퓨터를 이용한 소통은 점점 발달해서 10여년 전 컴퓨터에 모뎀을 꽂아 썼던 PC통신이 이제 손안의 인터넷 세상, 스마트폰으로 진화했다. ‘이야기’ 같은 PC통신 프로그램을 사용했던 세대에게 화상 채팅은 너무 직설적이기만 하다. 통신이 발달할수록 사람은 더 외롭게 된다는 역설이 스마트폰 시대에는 뼈저리게 다가온다.
‘정보의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도구들의 폐해도 만만치 않다. 얼굴을 모르는 누군가가 던지는 ‘악플’(악성 댓글)이 개인의 자살로 이어지기도 하고, 확인할 수 없는 무분별한 이야기들이 정보의 바다에 무수히 떠돈다.
정보의 공유와 소통을 위해 인터넷에 글을 쓰던 사람들이 이제는 수익을 얻으려고 블로그에 사진을 올린다. 한때 댓글만 달려도 기뻐하던 파워 블로거들이 공동구매와 제품 홍보에만 매달리는 안타까운 현실도 자주 볼 수 있다.
인터넷으로 5억명의 친구를 사귀어도 바로 내 곁에 있는 단 한 사람과 소통할 수 없다면 얼마나 불행한가. 휴대전화 액정화면만을 들여다보기보다는 내일이면 사라질 고운 단풍을 눈과 마음에 새기고 바로 내 앞에 있는 사람이 하는 이야기에 더 귀를 기울일 시간이다.
geo@seoul.co.kr
2010-11-2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