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평양 콘서트/최광숙 논설위원

[씨줄날줄] 평양 콘서트/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0-12-13 00:00
업데이트 2010-12-13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처음 평양 시민들은 간간이 박수를 칠 뿐이었다. 그러다 한민족의 애환이 서려 있는 ‘봉선화’, ‘한 오백년’이 흘러나오자 관객들의 눈가에 이슬이 맺히기 시작했다. 음악으로 남과 북이 하나가 되는 순간이었다. ‘오빠 부대’ 팬들을 몰고 다닌 원조 격인 가수 조용필씨는 수많은 무대에 섰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으로 지난 2005년 8월 평양 콘서트를 꼽는다. “내 음악 인생에서 가장 값진 하루였다.”는 것이 그의 소감이었다.

그보다 먼저 평양 공연을 가진 이는 일본에서 활동하던 김연자씨다. 그는 지난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이 끝난 이듬해인 2001년 4월 평양 무대에 올랐다. 당시 김씨의 공연기획자이던 북측의 리철우씨는 “민중은 이북에도 있으니 자주 와서 공연하라.”는 것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대중음악론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이어 2002년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씨가 국내 가수로는 처음으로 남북한에 동시 생중계됐던 평양특별공연 무대에 섰다.

“내 첫사랑은 음악”이라고 말할 정도로 김 위원장은 음악 애호가로 알려졌다. 북한에서 납북생활을 하다가 탈출한 신상옥·최은희 부부의 수기 ‘김정일 왕국’을 보면 가극 ‘피바다’를 연주하던 오케스트라의 연습 과정을 지켜 보던 김 위원장이 바이올린 연주자가 “반음 낮게 연주했다.”고 지적할 정도로 음악 감각이 뛰어나다고 한다. 하지만 김 위원장은 지난 2008년 2월 지휘자 로린 마젤이 단원 200여명을 이끌고 공연한 역사적인 미국 뉴욕 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평양콘서트에는 끝내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진정한 음악애호가라면 세계 최고 기량의 오케스트라 연주회에 열일 제쳐두고 왔겠지만 그는 달랐다.

과거 미국과 중국이 ‘핑퐁외교’로 국교수립까지 갔던 것처럼 그는 ‘음악정치’를 시도했던 것 같다. 우리의 대중 가수들을 잇달아 초청해 평양 공연을 허락한 것도 김대중, 노무현 두 정부 시절의 일들인 것을 보면 그렇다. 나중에 알려진 일이긴 하지만 일련의 평양 콘서트에는 어김없이 현금과 현물 등 10여억원이 북측에 건네졌다고 한다.

최근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미국 외교 전문에 따르면 북한이 2007년 세계적인 기타리스트 에릭 클랩턴의 평양 콘서트를 추진했다. 김 위원장의 차남 정철이 그의 팬이지만 클랩턴의 부정적인 반응으로 무산됐다고 한다. 만약 성사됐다면 기존 평양 공연과는 구별됐을 것이다. 클랩턴이 공연비도 안받고 우리의 평양 공연처럼 돈을 주면서 평양행 비행기에 올랐겠는가?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0-12-13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