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窓] 위대한 문화혁명/차동엽 인천가톨릭대 교수·신부

[생명의 窓] 위대한 문화혁명/차동엽 인천가톨릭대 교수·신부

입력 2011-05-14 00:00
업데이트 2011-05-14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차동엽 인천 가톨릭대 교수·신부
차동엽 인천 가톨릭대 교수·신부
지난 4월 초 필자는 경찰청 직원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K문고 독서경영연구소 주관 ‘독서토론회-저자와의 만남’에 초대되어 강의를 했다. 경찰청 내 ‘POLICE 열정 아카데미’ 프로그램 사업 중 하나인 독서토론회는 2009년에 신설돼 점차 조직 내 독서 붐 조성 및 독서모임 구성 등 새로운 조직문화를 창출해 나가는 데 목적이 있다고 한다. 그곳에서 필자는 뜻밖의 신선한 문화 충격을 경험했다. ‘책 읽는 경찰’이라는 이미지가 왠지 낯설고 머릿속에 쉬이 그려지지도 않았던 초기 데이터가 강의를 마친 후 대폭 수정되는 정도를 넘어 진한 감동까지 한 가슴 안겨주고 돌아오게 했으니 말이다.

강의를 시작하기 전 주최 측 관계자들과 가진 차 나눔에서부터 필자의 선입견은 여지없이 깨지고 말았다. 늘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아 긴장을 늦출 수 없기에 그야말로 책 읽을 여유란 ‘반 짬’도 찾아볼 수 없을 것 같았던 그들의 일터에서 이런 학습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들어 보니 긍정적인 변화의 산물은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우선 삭막해지기 쉬운 직장생활에 활력이 되는 한편, 인간애도 살아나 동료들과의 관계가 좋아졌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다양한 주제의 책을 읽음으로써 경직되기 쉬운 사고가 유연해져 수사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경찰 서비스 업무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시민에 대한 봉사의 질도 한층 높아졌다는 것이다. 하나의 예로 그 자리에 동석했던 K문고의 대표는 필자에게 어느 경찰서장이 보낸 편지 한 통을 보여 주었다. 내용 중 몇 대목을 독자들에게도 잠깐 소개하면 이렇다(편의상 부임지는 ○○으로 표기했다).

“…저는 지난 1월 11일 ○○으로 내려와 근무하고 있습니다. 강·절도 사범 검거 등 그간 몇 건의 성과가 있었으나 그보다도 주민과의 소통 및 화합을 통한 공감 치안의 필요성에 긍정적인 분위기가 잡혀 가고 있다는 사실에 더 큰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우리 ○○경찰은 책 읽는 경찰상 구현과 책을 통해 주민과 만나는 문화 공간의 역할을 하게 될 작은 도서관을 만들었습니다. 도서관 명칭은 주민과 경찰이 공감하는 장소라는 뜻의 ‘공감마루’로 정했습니다. 국전 초대 작가로 이곳에 사시는 최고의 서예가가 쓰신 ‘지금 잠을 자면 꿈을 꾸지만 지금 책을 읽으면 꿈을 이룬다’는 하버드대 도서관의 명언도 액자로 만들어 걸었습니다. … 행여 기회가 되신다면 ‘공감마루’에 들러 차 한 잔 드시고 가시기 바랍니다.…”

필자는 이 짧은 편지글에서 대한민국의 희망찬 미래를 보았다. 무슨 거창한 이념이나 철학이 아니라 하나의 작은 실천이 가져 올 ‘나비효과’를 예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책을 통한 인간애의 나눔! ‘공감 치안’, ‘공감마루’라는 아이디어가 표방하듯 대한민국 경찰의 임무가 소극적 치안에서 적극적 대민 봉사의 차원으로 진화하고 있고 그 매개가 책이라고 하니 어찌 아니 반가운 일이겠는가.

대한민국 어느 한 고장 사람들과 그곳을 관할하는 경찰관, 그리고 책 유통업자, 이들이 책으로 인연을 맺은 이 묘한 앙상블에는 피해자나 가해자 또는 재판관이 없다. 소비자와 판매자도 없다. 오직 훈훈한 휴머니즘만이 공존한다.

그날의 강의 분위기는 더 언급할 필요 없이 좋았다. 언뜻 보기에 경찰 공무원이라고 식별하기에는 너무도 부드럽고 민간인스러운(?) 표정들이었다. 지적 호기심에 가득 찬 경청의 태도, 그리고 강의 후 질문은 한마디로 책 읽는 문화가 얼마나 사람과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웅변적으로 보여 주었다.

요즘 여러 매체들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독서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독서 동아리들이 왕성하게 독서 문화를 이끌어 가고 있음을 익히 보아 왔다. 필자는 독서문화의 부흥이야말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먹여 살릴 확실한 성장 동력이요, 가장 폭발력 있는 문화혁명이라고 여기기에 이와 관련한 문화 선구자들에게 유감 없는 응원을 보낸다.
2011-05-14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