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의총(議總)/임태순 논설위원

[씨줄날줄] 의총(議總)/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1-11-18 00:00
업데이트 2011-11-18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병자호란 당시 조선은 청나라와 싸우자는 척화파(斥和派)와 강화를 맺어 외교적으로 풀어가자는 주화파(主和派)로 나뉘어 있었다. 척화파와 주화파의 대표는 김상헌과 최명길이었다. 대의명분상으로는 결사항전하자는 강경파의 주장이 그럴듯하지만 임진왜란을 치른 지 얼마 안돼 피폐해진 조선의 국력으로는 막강한 군사력의 청과 싸운다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치기였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항상 대의와 명분이 실리를 이긴다. 결국 척화파의 의견을 따른 인조는 청나라 왕에게 세번 절하고 이마를 아홉번 땅에 대는 삼배구고두례(三拜九叩頭禮)의 치욕을 당했다.

중요한 사항을 결정할 때는 회의를 열어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듣는다. 한 사람보다 여러 사람의 생각이 모이면 훨씬 더 합리적인 결론이 내려지기 때문이다. 이른바 ‘집단사고’(集團思考·Group Thinking)다. 그러나 항상 집단사고가 옳은 것은 아니다. 집단사고에도 여러 가지 함정이 도사리고 있어 잘못을 범한다. 사람들은 다수의 의견을 따라가는 ‘동조화’ 경향이 있다. 설령 자신이 옳아도 집단의 의견이 다르면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토론을 하면 쏠림현상이 나타난다. 강경파의 의견은 더욱 강해지고 비둘기파의 의견은 더욱 약해지는 ‘집단의견의 극화’(Group Polarization) 현상이다. 집단의 의사나 행동은 증폭되는 경향이 있다. 한 집단이 처음 내린 결정은 외부인이 보기에는 잘못된 것이지만 점점 최초의 결정이 강화되는 쪽으로 방향성을 지니게 된다. 투자자금을 회수하기 어려운 사업인데도 ‘이미 발을 들여놓았는데’, ‘이미 관계를 가졌는데’ 하면서 계속 투자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집단사고의 대표적 오류 사례로는 미국 케네디 대통령의 쿠바 피그만 침공사건이 회자된다. 당시 백악관 엘리트 참모들은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줘야 한다.” “우리가 실패할 리 없다.”는 독단에 빠져 병력 파견에 아무런 반대를 하지 않았다. 하지만 침공부대는 쿠바군에 생포돼 거액의 배상금을 물고 풀려나는 수모를 겪었다.

민주당이 엊그제 의원총회를 열어 이명박 대통령의 한·미 자유무역협정( FTA) 비준 후 투자자 국가소송제도(ISD) 재협상 제안에 대해 논의했다. ISD 폐기나 유보를 전제로 한 재협상 약속문서를 받아오라고 결론이 났으니 사실상 대통령 제안을 거부한 것이다. 민주당이 ‘집단최면’에 걸려 있어 애초부터 합리적인 결론이 나오기는 어려웠다. 때로는 74명의 의원보다 개개인이 더 현명하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1-11-18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