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쭉하게 두 개의 섬이 잇대어 있는 현재와는 전혀 다른, 1968년 2월 10일 폭파 직전의 밤섬 모습이다. 밤의 형상을 한 밤섬은 한자로 율도(栗島)로 표기되었는데 이 사진을 보면 왜 밤섬인지 알 수 있다. 밤섬과 여의도는 원래 하나의 섬이나 마찬가지였다. 두 섬 사이에는 모래톱이 있어 물이 불으면 잠기고 빠지면 드러났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역사서에 밤섬은 ‘가산’(駕山), ‘율주’(栗州)라고도 쓰여 있다. 사진 속에 집이 보이듯이 밤섬은 사람이 사는 섬이었다. 고려 때는 귀양지였고 조선시대에는 배를 만드는 조선업자들이 살았다. 또 뽕나무를 재배해 누에를 쳤으며 약초도 심고 염소를 방목했다. 여의도에 윤중제를 만들어 개발하는 과정에서 밤섬은 폭파된다. 그때까지 밤섬에는 62가구 443명의 주민이 살고 있었는데, 폭파 전 강 건너 창천동으로 이주했다. 주민들은 2년에 한 번씩 고향 밤섬으로 가서 제사를 지내고 있다.
1968년 2월 10일 오후 3시 김현옥 시장이 폭파 단추를 눌렀다. 밤섬을 폭파하게 된 것은 여의도에 제방을 만듦에 따라 한강물의 흐름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 첫째 목적이었고, 다음으로는 폭파 부산물인 돌을 제방공사에 쓰려는 것이었다. 그렇게 해서 여의도와 밤섬은 현재와 같이 500m 이상의 거리를 두게 되었다. 폭파 공사로 밤섬은 중심부가 파헤쳐지고 9개의 작은 섬으로 나누어졌다. 밤섬은 그 뒤 30여년 동안 형태의 변화를 겪게 된다. 상류 쪽 작은 섬에 퇴적물이 쌓이면서 점차 커져 크기가 비슷한 두 개의 섬이 되었다.
밤섬에서 한강 너머로 당인리 발전소가 보인다. 지금은 서울화력발전소로 이름이 바뀌었다. 당인리는 예전에 당나라 사람(唐人)들이 마을을 이루고 살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당인리 발전소는 1930년 11월 1호기(1만kW)를 준공하여 발전을 시작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열병합발전을 시작하였고 처음에는 석탄을 연료로 썼지만, 지금은 매연을 줄이고자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사용한다. 그럼에도, 발전소는 주변이 개발되면서 혐오시설이 되었고 지하화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1-1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