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타이를 단정하게 매고 바짝 긴장한 채 앉아 있는 입사 지원자. 다리를 꼰 면접관들은 엷은 미소를 머금고 지원자의 신상이 적힌 서류를 들여다보고 있다. 1966년 1월 16일 서울신문 13기 기자 면접시험장의 모습이다. 사무실 집기는 남루하지만, 책장에는 장서가 가득하다. 신문도 가지런히 철이 되어 있어 자료실을 면접장소로 쓰고 있는 듯하다. 책상에 담배와 재떨이를 놓고 연기를 내뿜는 모습은 이제는 생소하게 느껴진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대학을 졸업해도 취직할 자리가 많지 않았던 시절이었다. 재벌로 성장한 대기업이 태동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일반 기업체의 공채 인원도 적었다. 삼성, 현대, 동양, 한국화약 등의 대기업은 1950년대 후반 들어서야 공채 사원을 뽑기 시작했다. 당시 최고의 직장은 은행이었고 택시기사, 타이피스트도 인기직업이었다. 고시라는 좁은 문을 통과하는 데 운명을 걸기도 했다. 제1회 고등고시 시험이 치러진 해는 1950년이다. 사법과와 행정과로 나뉘어 있다가 1954년 기술과가 신설됐다.
언론계도 문과 졸업생들이 선호하는 직장이었지만 언론사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선발 인원이 워낙 적어서 관문을 뚫기가 쉽지 않았다. 서울신문은 6·25 종전 직후인 1953년 8월 200여명의 지원자 중 1기 수습기자로 엄기성, 민용기 두 사람을 최초로 뽑은 뒤 현재 47기가 입사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1-2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