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1967년 갓 쓰고 두루마기 입고 유세장 찾은 촌로

[DB를 열다] 1967년 갓 쓰고 두루마기 입고 유세장 찾은 촌로

입력 2013-04-27 00:00
수정 2013-04-27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갓 쓰고 두루마기를 입고 흰 고무신을 신은 노인의 모습은 1960년대 농촌에서는 쉽게 볼 수 있는 풍경이었다. 사진은 1967년 제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경남 산청의 운동장에서 열린 유세 현장에 모인 지역민들의 모습이다. 갓을 쓰거나 하얀 두루마기를 입은 촌로(村老)들이 군중 속에 섞여 있다.

갓은 삼국시대 때부터 쓰기 시작한 것으로, 사진 속 노인이 쓰고 있는 일반적인 흑립은 조선시대 때부터 양반층에서 쓰기 시작해 서민들까지 쓰게 되었다. 갓의 용도는 비나 햇빛을 가리는 것이었으나 의관정제(衣冠整齊)라는 말이 있듯이 외출할 때 단정한 옷과 함께 갓을 갖추어 쓴다. 갓은 쓰지 않을 때는 태극무늬 등 문양이 있는 갓집에 넣어 보관한다. 주로 장롱 위에 얹어 놓아 방안 치레의 구실도 하였다.

일상생활에서 농민들이 입는 옷은 주로 무명 한복이었다. 남자들은 바지저고리를, 여자들은 치마저고리를 입는다. 한복은 세탁해서 입기까지의 과정이 복잡하다. 풀을 먹여 빳빳한 상태로 입는다. 풀을 먹이면 오래 입고 때도 덜 탄다. 풀을 먹인 한복은 다듬이질을 한다. 옷감을 다듬잇돌 위에 올려놓고 방망이로 두드리는 것이 다듬이질이다. 잘 다듬어진 옷감은 다리미로 다린 것 이상으로 매끈하고 잘 구겨지지도 않는다. 다듬이질을 하려면 옷감에 물을 축여야 하는데 대개 물을 입에 넣고 뿜는다.

농사일도 하얀 무명 한복을 입고 했다. 외출할 때는 한복 위에 두루마기를 입는데, 두루마기는 서양의 코트처럼 방한용도 되었다. 사진에서도 보이듯이 당시 시골에서는 일할 때나 외출할 때나 거의 흰 고무신을 신었다. 1919년 우리나라에 ‘대륙고무’라는 고무신 회사가 처음 생겼고 이후 다른 공장들도 잇따라 생겨 농민들이 신던 짚신을 대체했다. 1970년대 초반까지도 많은 농촌 지역에서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흰색이나 검정 고무신을 신고 일도 하고 학교에 다녔다.

노인이 쓰고 있는 우산은 종이와 대나무로 만든 지(紙)우산으로 보인다. 지우산은 질긴 성질 때문에 부채에도 쓰이는 한지에 기름을 먹여 만든다. 종이우산은 비닐우산이 나오면서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이제는 전통 공예의 하나로 맥을 잇고 있을 뿐이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4-2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