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 가톨릭의대 해부학교실 교수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세포의 죽음도 이와 비슷하다. 자연적인 죽음인 세포자멸사(apoptosis)가 있는가 하면, 외적 원인에 의해 뜻하지 않게 죽는 괴사(necrosis)가 있다. 세포가 외부로부터 물리적 상해를 받거나, 감염된 세균이 분비한 독소에 노출되거나, 뇌졸중처럼 혈관이 막혀 산소의 공급을 못 받게 되는 등의 상황에 처하게 되면 세포는 괴사에 빠진다. 괴사에 빠진 세포는 핵 속의 염색질이 농축돼 불규칙한 모습의 작은 조각으로 갈라져 분해되며, 결국에는 세포막이 파열돼 세포 안에 있던 내용물이 주위 조직에 흩어지게 된다. 이렇게 괴사된 세포에 의해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그 주변 부위가 빨갛게 부어오르고 발열과 함께 통증이 유발되어 우리를 괴롭힌다.
이와 달리, 세포자멸사로 죽는 세포는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세포자멸사를 뜻하는 아포푸토시스( apoptosis)라는 용어는 그리스어의 apo(off·분리, 이탈)와 ptosis(fall·떨어짐, 죽음)의 합성어로, 마치 가을 나뭇잎이 말라 떨어지는 것처럼 세포가 떨어져나가 죽음을 맞이한다는 의미다. 이렇게 죽는 세포는 세포질과 핵의 크기가 줄어들다가 자멸소체(apoptotic body)라 불리는 작은 조각으로 분리되고, 이들은 세포막으로 둘러싸인 채 포식세포와 같은 다른 세포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흔적 없이 사라진다. 죽은 세포가 갖고 있던 유익한 성분은 다른 세포를 위한 영양분으로 재사용된다. 부작용이 전혀 없다. 놀라운 것은, 우리 몸이 어머니의 뱃속에서 각 장기의 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에 세포자멸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손가락과 발가락이 생길 때 처음엔 이들이 만들어질 부위에 물갈퀴 같은 구조가 있으나, 그 부위의 세포는 스스로 죽고 손과 발이 될 부위의 세포가 증식해 자란다. 이처럼 세포자멸사는 태어날 아기의 신체 각 부분이 온전한 모습과 기능을 가지게 한다.
조물주는 정확한 시간에, 그리고 정확한 장소에서 세포자멸사가 일어나도록 생명의 프로그램을 정교하게 짜놓은 것이다. 수정되어 사람이 되는 과정뿐 아니라 태어나서 생을 영위한 뒤 죽을 때까지, 우리 몸에는 세포의 새로운 생성과 세포자멸사를 통한 죽음이 끊임없이 공존한다. 그 조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만 우리 몸은 구조적 평형을 유지하며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다. 우리의 생이 머물렀던 그 자리가 세포자멸사처럼 어떤 오점도 없이 깨끗할 뿐만 아니라, 남기고 간 흔적이 다른 사람에게 영양분이 되고 희망과 행복의 원천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면 지나친 바람일까? 현미경의 작은 렌즈를 통해 바라본 세포들의 모습을 통해 갑자기 어수선해진 봄날의 의미를 문득 되새겨본다.
2013-04-2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