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중증장애인이 어우러지는 사회를 꿈꾼다/변용찬 한국장애인개발원 원장

[기고] 중증장애인이 어우러지는 사회를 꿈꾼다/변용찬 한국장애인개발원 원장

입력 2014-08-18 00:00
업데이트 2014-08-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변용찬 한국장애인개발원 원장
변용찬 한국장애인개발원 원장
장애인 중 약 90%는 질병·사고 등 후천적인 원인으로 장애를 갖고 있다고 한다. 누구나 장애인으로 살아갈 수 있기에, 이제 장애는 특정 소수에만 해당하는 문제가 아니며, 장애인의 복지 또한 장애인만의 일이 아니다.

2011년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욕구 중 소득보장이 38.2%로 가장 높았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소득보장과 자립기반을 마련해 주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중증장애인 일자리 지원사업이 대표적이다.

장애인들의 고용률을 살펴보면, 경증장애인의 고용률은 41.4%이며 중증장애인은 16.3%로 훨씬 낮아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지원이 시급하다. 일터 현장에서 만나는 중증장애인의 사례를 보면 어떻게 지원해야 할지 힌트를 얻을 수 있다.

발달장애인 A군은 대학 졸업을 앞둔 2013년 말 경기도 가평의 한 노인요양원에서 요양보호사 업무를 도왔다. 그는 요양보호사의 꿈을 키우며 올해 초 요양보호사 자격증에 도전, 비장애인도 어렵다는 시험에 당당히 합격했다. 발달장애인과 같은 중증장애인도 자신의 진로를 미리 탐색하고 현장을 경험할 수 있다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A군은 특히 지난해 보건복지부와 한국장애인개발원이 시범 실시했던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사업’에 참여했던 것이 취업 계기가 됐다고 한다. 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교 측에서 정보를 알아봐 주고 가정에서도 물리적·정신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가정·학교·공공기관이 함께 힘을 모은 결과다.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의 또 다른 사례를 살펴보자. 서울 용산구청 3층에는 중증장애인이 바리스타로 일는 카페가 있다. 이곳에서 일하는 지적장애인 B씨는 커피 만드는 일이 좋아 일찍부터 바리스타 교육을 받았다. 그리고 지난해 카페 위탁운영기관인 용산장애인복지관을 통해 이곳에 취업했다. 이렇게 중증장애인 바리스타가 일하는 카페는 2014년 7월 현재 전국에 17곳이 있다. 중증장애인도 74명 채용된 상태다. 공공기관이 앞장서 중증장애인에게 취업의 장을 마련해 준 것이다.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은 단순 고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복지서비스 일환으로 진행돼야 한다. 어떤 잠재능력을 지니고 있는지 파악해 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 사회 곳곳에서 중증장애인이 일하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을 때 장애인에 대한 인식도 달라질 수 있다.
2014-08-18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