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나를 바꾸고 세상을 바꾸는 국토순례/김범식 전국걷기연합회 회장

[기고] 나를 바꾸고 세상을 바꾸는 국토순례/김범식 전국걷기연합회 회장

입력 2014-08-25 00:00
수정 2014-08-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범식 전국걷기연합회 회장
김범식 전국걷기연합회 회장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한여름을 국토순례로 견뎌냈다.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4일까지 중고생 100명과 함께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강원 평창까지 120㎞를 걸었다.

국토순례의 매력은 불편함을 감내하는 데 있다. 최소한의 안전을 지키며 싫어도 해야 하고, 하고 싶어도 참아야 한다. 손전화는 사용할 수 없다. 낙뢰, 천둥과 함께 빗길을 걸어야 한다.

요즘 아이들은 걷는 걸 싫어한다. 일주일을 하루 20㎞씩 걷자고 하면 다들 나자빠진다. 되레 학교, 경찰서, 교육청이 훼방꾼이다. 사고가 나면 책임질 거냐고 비아냥거린다.

학부형들이 용기있는 분들이다. 대전에 사는 아버지는 삼형제를 데리고 서울에 올라와 신체검사와 오리엔테이션까지 챙긴다. 한 대원이 텐트 밖으로 나오다 비틀거린다. 문턱 높이가 20㎝인데, 그걸 못 넘어 기어 나온다. 도시의 청소년들은 집, 아파트, 교실, 도로가 모두 평평해서 슬리퍼를 질질 끌고 다니니 발목 각도가 안 나온다. 쪼그려 앉지도 못한다.

걷는 자세를 측정하고 상담받은 여학생은 “세상에 처음 느껴보는 발걸음”이라고 말한다. 바른 걷기는 두 발을 11자로 걸으면서 발뒤꿈치부터 새끼발가락쪽 발바닥, 그리고 엄지발가락으로 힘주어 차고 나가야 한다. 신중하고 활달하게, 자신 있고 정의로운 걸음걸이로 바뀌면 성격도 바로잡힌다.

국토순례는 위대한 동행이다. 처음에는 구령에도 모른 체한다. 말도 잘 듣지 않는다. 군대식으로 잡아볼까 하면 오히려 반발한다. 우선 친해져야 한다. 함께 고생하며 친해지면 힘들어 하는 동료의 배낭도 짊어 주고, 파스도 발라주고, 손목을 잡고 이끌어준다.

프랑스의 ‘쇠이유’는 방황하는 청소년과 함께 걷는 교화 프로그램이다. 소년원에 수감 중인 청소년이 동행자와 함께 언어가 통하지 않는 한 나라를 선택해 100일 동안 2000㎞를 걸으면 석방한다. 일반 소년범의 재발률은 85%인 반면, 쇠이유를 거친 소년범의 재발률은 15%라고 한다.

기회가 주어진다면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이 함께하는 국토순례를 하고 싶다. 아들과 아버지, 딸과 엄마가 함께하는 국토순례도 하고 싶다. 함께 걸으며 ‘우리 애는 괜찮은 편이구나’, ‘부모가 고맙구나’ 하고 서로 깨달아야 한다. “하루벌이 때문에 안 된다면 일당을 줘서라도 가족이 국토순례에 동반케 하자”는 일선 지도자의 얘기에 공감이 간다.

먼 길을 함께 떠나보자. 길 따라 꿈 따라 걷다 보면 또 다른 자신과 세상을 발견할 것이다. 자신을 바꾸는 시간, 세상을 바꾸는 시간, 국토순례다.
2014-08-2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