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소리] 낙엽활용은 창조경제다/변성섭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독자의 소리] 낙엽활용은 창조경제다/변성섭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입력 2014-11-01 00:00
수정 2014-11-0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낙엽의 계절이다. 최근 한국종합환경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약 210만 그루의 가로수가 식재되어 있다. 도심 가로수는 38.9%가 은행나무이며, 24.5%가 버즘나무이다.

낙엽 발생량은 보통 한 그루에서 100㎏ 정도다. 210만 그루면 약 21만t의 낙엽이 발생한다. 여기에 가지치기 등으로 인해 7만t 정도가 더 발생하는 것을 감안한다면 연간 28만t 이상이다.

지자체별 낙엽처리방법은 다양하지만 폐기가 58%로 대부분 소각하거나 매립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낙엽을 경제적 ‘가치재’로 인식해야 한다. 일본 도쿠시마현의 한 시골 마을에서는 산이나 집 뒤뜰에 떨어진 낙엽을 고급요리의 장식용 부재료 소품으로 상품화해 연간 2억 6000만엔(약 35억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독일은 바이오가스 생산과 유기농에 활용하고 있다. 특히 독성이 강한 은행잎은 항균, 항암, 항염증 등의 특성을 지닌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정화조 살균이나 모기 유충을 구제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낙엽을 ‘관광상품’의 소재로도 사용할 수 있다. 낙엽을 활용해 관관상품으로 개발한 남이섬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낙엽을 자원화하고 관광상품으로 개발하려면 시간과 정성이 들어가지만 경제적 가치로 활용한다면 환경도 살리고, 창조경제로 나아가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것이다.

변성섭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2014-11-0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